금값이 사상 처음으로 온스당 1400달러를 돌파했다. 8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12월 인도분 금값이 지난주말 종가보다 5.5달러(0.4%) 오른 온스당 1403.20달러로 마감, 1400달러선을 넘어섰다. 인플레이션 헤지 수단과 안전자산으로 인기가 치솟으면서 금값 선물은 장중 한때 온스당 1407.20달러까지 올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금값 현물도 로버트 졸릭 세계은행 총재가 파이낸셜 타임스 기고를 통해 환율 갈등 해소를 위한 ‘변형된 금본위제’ 채택을 전격 제의한 여파로 상승세가 이어졌다. 골드만삭스는 6개월 안에 금값이 1525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유가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NYMEX에서 12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지난주말 종가보다 21센트(0.2%) 상승한 배럴당 87.06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시장에서는 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연준)가 발표한 6000억달러 규모의 양적 완화 조치로 인해 부진한 경기회복세가 가속화하고 원유 수요도 증가할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면서 유가가 강세를 보였다.
이 같은 시장의 반응과 달리 졸릭 세계은행 총재의 환율 갈등 해소를 위한 ‘변형된 금본위제’ 채택 제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로이터통신은 졸릭의 제안이 실질적인 금본위제로의 복귀를 겨냥했다기보다 중국을 국제 통화 시스템으로 더 끌어들이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워싱턴 소재 싱크탱크인 피터슨국제경제연구소의 프레드 버그스텐 소장은 파이낸셜 타임스에 “졸릭의 접근이 전반적으로 매우 사려 깊다.”고 평가하면서도 다시 금을 사용하자는 구상에는 “사소하며 정말 잘못 짚은 것”이라고 반대했다. UBS의 에델 털리 애널리스트도 보고서에서 “세계 무역이 빠르게 늘어나는 상황에서 (금본위제가 가동하려면) 금 공급도 그만큼 급증해야 할 것”이라면서 “그러나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1-10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