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수입 300만원은 넘어야

월수입 300만원은 넘어야

입력 2010-12-03 00:00
수정 2010-12-03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계청 ‘한국 사회동향 2010’

한달에 얼마를 벌어야 자기 소득에 만족할까. 통계청 조사결과 월 소득이 300만원대를 넘으면 그나마 소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통계청에 발표한 ‘한국의 사회동향 2010’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소득 수준별 소득만족도는 300만~399만원에서 16.0%로 다른 구간에 비해 뚜렷이 증가했다. 통계청은 “300만~399만원이 국내가정의 소득만족도를 결정짓는 경계점이라 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300만원대 벌이를 하느냐 못 하느냐는 맞벌이 여부에 따라 갈렸다. 지난해 맞벌이 가구의 평균 월소득은 평균 426만 3000원이었지만 맞벌이를 하지 않는 가구는 298만 9000원을 벌었다. 또 국민 4명 중 1명은 자신의 주거 환경에 만족하지 못했다. 국민 6명 중 1명은 매년 이사를 했다. 주된 목적은 평수 확장과 내 집 마련이었다.

육아부담은 여성취업의 가장 큰 걸림돌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시설 이용률은 영아(0~2세)가 2004년 11.2%에서 2009년 33.5%로 늘었고, 유아(3~5세)도 2004년 38.9%에서 2009년 49.9%로 증가했다. 유치원을 다니는 유아도 2004년 27.2%에서 2009년 39.4%로 뛰었다. 그러나 여성취업의 장애요인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육아 부담’의 비율은 1998년 29.3%에서 2009년에는 47.6%로 늘었다.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2001년 2105건에서 2009년 5685건으로 2.7배로 늘어났다. 83%가 부모에 의해 이뤄졌다. 아동 성폭력 신고 건수는 2000년 595건에서 2009년 1017건으로 1.7배로 불어났다.

지난해 전체 결혼 가운데 국제결혼이 차지하는 비중은 10.8%로 10쌍 가운데 1쌍이 외국인과 결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남자와 외국인 여자 부부의 평균 나이 차이는 2000년 6.9세에서 2009년에는 11.1세로 늘었다.

개인 기부가 전체 기부금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7년 37.3%(9500억원)에서 20 08년 62.7%(5조 6700억원)로 늘었다. 법인 기부금 37.3%를 크게 앞질렀다.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기부 횟수가 늘었는데 1인당 연 평균 기부 횟수는 여자가 남자보다 0.4회 정도 많았다. 올해 성인 흡연율과 음주율은 각각 24.7%와 68.4%로 조금 줄어들었다. 비만율은 2007년 31.7%에서 2008년 31.0%로 주춤한 상황이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12-0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