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
하나금융은 24일 서울 을지로 본점에서 열린 회장후보추천위원회에서 김 회장을 차기 회장으로 선임했다고 밝혔다. 김 회장 연임이 확정되면서 다음달 임기가 끝나는 김종열 하나금융 사장과 김정태 하나은행장도 유임될 가능성이 높다. 하나금융이 세대교체 대신 성장의 지속성에 방점을 찍는 셈이다.
김 회장의 세번째 연임은 하나금융을 ‘한국판 산탄데르 은행’으로 키울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스페인 산탄데르 은행은 1980년 중반까지만 해도 스페인 6위 은행에 불과했지만 전문경영인 에밀리오 보틴 회장이 취임하면서 공격적인 인수합병(M&A)으로 세계 10대 은행, 스페인 최고 은행으로 성장했다. 김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지난 2001년 하나은행의 구체적인 목표로 2012년 동아시아 리딩금융그룹, 2015년 글로벌 톱 50 금융그룹을 제시했다.”면서 “그로부터 10년이 지난 올해를 ‘글로벌 톱 50 원년’이라고 이름 붙이고 싶다.”고 말했다. 김 회장이 국내 금융권에서 아무도 보여주지 않은 진정한 ‘뱅커’로서의 길을 보여줄지 관심이 집중된다.
김 회장은 1997년 하나은행장이 된 뒤 98년 충청은행, 99년 보람은행, 2002년 서울은행, 2005년 대한투자증권을 인수했다.
김 회장은 취임 전인 1996년 8조원대였던 총자산을 지난해 196조원으로 키워냈다. 김 회장이 이끄는 하나금융은 ▲영업점장 공모제 ▲객장 내 증권보험 창구 개설 ▲프라이빗뱅킹(PB) 제도 도입 ▲지점장실 폐쇄 등의 시도에 앞장서왔다.
그런 김 회장에게도 외환은행 인수는 녹록지 않은 도전이다. 김 회장은 연임이 확정되자 “외환은행 인수 등 현안이 걸려 있어서 어깨가 무겁다.”면서 “외환은행 인수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이미 외환은행 인수 뒤 운영 방안 등을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금융 아래 하나은행과 외환은행을 2개의 은행(투 뱅크) 체제로 운영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게 관건이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02-25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