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런볼에서 밀러맥주까지…식품가격 도미노인상

홈런볼에서 밀러맥주까지…식품가격 도미노인상

입력 2011-04-05 00:00
수정 2011-04-05 1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 눈치보던 식품업체들 “원가상승 압박 못견디겠다”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 불안이 심해지고 있다.

일부 식품업체들이 설탕, 밀가루 같은 소재식품에 이어 과자, 음료 등 가공식품 가격을 올리기 시작했으며 다른 업체들의 도미노식 인상이 계속될 전망이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제당업계가 지난해 12월과 지난달 연이어 설탕값을 9~10% 올린 데 이어 동아원이 이날부터 밀가루 가격을 8.6% 인상했고 다른 제분업체들도 조만간 값을 올릴 계획이다.

해태제과는 지난달말부터 주력제품인 오예스, 홈런볼, 후렌치파이를 비롯한 24개 품목의 대형 유통업체 공급가격을 평균 8% 올렸으며 롯데칠성음료도 소매업체에 들어가는 펩시콜라, 사이다 등 납품가를 5~10% 올렸다.

또 유한킴벌리도 일부 유통업체에 립톤 아이스티 10여 개 품목에 대해 평균 10%가량 가격 인상을 요청해 협상을 거쳐 이주 안에 가격이 오를 전망이다.

수입맥주 밀러도 10여 개 품목에 대해 평균 5%가량 값을 인상하는 방안을 유통업체와 협의 중이다.

장보는 비용이 더 든다고 해서 밖에서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버거킹은 지난달부터 콜라 값을 1천500원에서 100원 올리고 콜라가 포함된 일부 세트메뉴 값도 100원씩 인상했으며 한국맥도날드는 1일부터 런치세트 메뉴를 최대 300원, 던킨도너츠는 베이글 일부제품을 100원씩 올렸다.

특히 가격 인상은 1~2개 업체에 그치지 않는 ‘전방위적 인상’이 될 것이라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다른 제과·음료·빙과·라면 업체들도 빠르면 1~2주, 늦어도 이달 안에 제품 가격을 잇달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소재식품 기업들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뚝 떨어지는 등 원가상승 압박을 견디지 못한 식품업체들의 ‘볼멘 소리’가 높아지면서 설 명절을 전후로 정부가 앞장서서 가격 인상을 억제하던 때와는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것.

지난해부터 곡물, 채소, 포장재 등 각종 원자재 값이 오를 때도 식품업체들은 “가격 인상을 검토 중”이라고만 말할 뿐 정부 눈치를 보면서 실제로 인상에 나서지는 못했으나 이번에는 “조만간 값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말을 꺼내고 있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원가 상승 압박은 오랫동안 계속 쌓여왔던 것이고 선두업체가 나설 때만 기다리고 있다”며 “조만간 일부 제품 가격을 올리게 될 것이라고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