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6일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에서 여성,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의 채용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대병원 등 의료기관의 보건·의료부문 여성인력 채용 확대 등으로 여성 채용이 전년보다 10.5% 증가해 4393명을 기록했다. 또한 공공기관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확대 등에 따라 장애인을 159명 채용해 전년보다 장애인 고용이 71% 늘었다.
장애인 채용에 앞장선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006년 사회형평적 인재채용제도 도입 후 유공자와 장애인 등 사회형평군 채용을 분리·운영하고, 일반모집에 장애인이 지원할 경우 가점(5~10%)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공기업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2%에서 3%로 확대된 점을 반영해 지난해 신규채용인원의 8.4%(83명 중 7명)를 장애인으로 채용했다.
비수도권 지역 인재 채용도 전년보다 12% 증가한 5303명으로 나타나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 채용인원의 절반이 넘는 54%가 지역 인재로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이공계 인력 활용방안 등을 통해 이공계 출신 채용(3456명)도 전년보다 46% 늘었다.
지난해 신규채용을 가장 많이 한 공기업은 한국수력원자력(464명), 준정부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307명), 기타공공기관은 서울대병원(532명)으로 나타났다.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