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6일 지난해 공공기관 신규채용에서 여성, 장애인 등 취업 취약계층의 채용이 크게 늘었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재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립대병원 등 의료기관의 보건·의료부문 여성인력 채용 확대 등으로 여성 채용이 전년보다 10.5% 증가해 4393명을 기록했다. 또한 공공기관의 장애인 의무고용률 확대 등에 따라 장애인을 159명 채용해 전년보다 장애인 고용이 71% 늘었다.
장애인 채용에 앞장선 한국지역난방공사는 2006년 사회형평적 인재채용제도 도입 후 유공자와 장애인 등 사회형평군 채용을 분리·운영하고, 일반모집에 장애인이 지원할 경우 가점(5~10%)을 부여하고 있다. 특히 공기업 장애인 의무고용률이 2%에서 3%로 확대된 점을 반영해 지난해 신규채용인원의 8.4%(83명 중 7명)를 장애인으로 채용했다.
비수도권 지역 인재 채용도 전년보다 12% 증가한 5303명으로 나타나 지난해 전체 공공기관 채용인원의 절반이 넘는 54%가 지역 인재로 채워진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이 자체적으로 마련한 이공계 인력 활용방안 등을 통해 이공계 출신 채용(3456명)도 전년보다 46% 늘었다.
지난해 신규채용을 가장 많이 한 공기업은 한국수력원자력(464명), 준정부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307명), 기타공공기관은 서울대병원(532명)으로 나타났다.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