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총수, 단기이익에 집착말아야”>

<김동수 “총수, 단기이익에 집착말아야”>

입력 2011-06-14 00:00
수정 2011-06-14 0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대기업 총수들에게 “단기적 이익에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며 ‘일침’을 가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출입기자단과 함께 청계산을 오른 뒤 가진 간담회에서 “대기업 총수와 회동이 이뤄지면 가장 하고 싶은 얘기가 뭐냐”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총수가 단기적인 이익에 집착하게 되면 CEO(최고경영자)들이 단가를 인하하고 이윤을 극대화하는 목표달성에만 전념하게 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당초 올해 상반기 내에 삼성, 현대자동차 등 15대 그룹 총수들과 회동,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문화 확산에 대기업 총수들이 솔선수범해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그룹 총수들의 일정이 빡빡한 데다가 김 위원장 자신도 계속되는 국회 일정 등 현안에 우선순위가 밀려 ‘목표시간 내에 총수와의 회동을 성사시키지 못했다. 일각에선 일부 대기업 총수들이 김 위원장과의 회동을 불편하게 생각해 소극적이라는 뒷말도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대기업총수와의 회동 추진은 지금도 진행형”이라며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그동안 기회가 있을 때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은 한국경제의 선택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라고 역설해왔다. 선진국들도 기업협력 네트워크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김 위원장은 글로벌 경쟁양상이 개별 기업 간 경쟁에서 기업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상황임을 강조하며 기존의 가격경쟁력에 초첨을 맞춘 비용 최소화 전략만으로는 더이상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에 품질과 브랜드가치 경쟁력에 초점을 맞춰 대-중소기업이 힘을 합치는 동반성장전략이야말로 기업과 국가의 번영을 담보해 줄 수 있다는 게 김 위원장의 지론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가 강압적으로 동반성장 정책을 추진하기보다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는 “대기업들이 동반성장의 틀에서 적극 협조해 줄 것을 정부는 요청하지만, 강제로는 안한다”면서 “기업들이 (동반성장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조사 등 제재에 대해) 신중히 접근할 생각”이라고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기업들이 정부의 ‘동반성장 드라이브’에 마지못해 참여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이를 이행하지 않는 ‘무늬만 동반성장 정책’에 대해선 강력 제재할 것임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업들이 앞에서는 동반성장 협약을 체결하면서 뒤에서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과거의 잘못된 모습을 반복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격앙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회사 내 만연된 부패를 강력 비판하며 중소기업과의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를 강조한 데 대해 환영하면서도 “좀 더 지켜볼 것”이라며 평가를 미뤘다.

이와 관련, 공정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얼마전 동반성장 워크숍에서 “이제부터는 대ㆍ중소기업 모두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실질적인 동반성장을 이뤄나가야 할 때”라고 말한 점을 상기시켰다.

이 회장과 삼성그룹이 동반성장에 대한 의지를 밝힌 만큼 이젠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