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총수, 단기이익에 집착말아야”>

<김동수 “총수, 단기이익에 집착말아야”>

입력 2011-06-14 00:00
수정 2011-06-14 07: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이 대기업 총수들에게 “단기적 이익에 너무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며 ‘일침’을 가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2일 출입기자단과 함께 청계산을 오른 뒤 가진 간담회에서 “대기업 총수와 회동이 이뤄지면 가장 하고 싶은 얘기가 뭐냐”는 질문에 대해 이같이 답변했다.

김 위원장은 “총수가 단기적인 이익에 집착하게 되면 CEO(최고경영자)들이 단가를 인하하고 이윤을 극대화하는 목표달성에만 전념하게 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이 어려워질 수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위원장은 당초 올해 상반기 내에 삼성, 현대자동차 등 15대 그룹 총수들과 회동, 대-중소기업 간 동반성장 문화 확산에 대기업 총수들이 솔선수범해줄 것을 당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대그룹 총수들의 일정이 빡빡한 데다가 김 위원장 자신도 계속되는 국회 일정 등 현안에 우선순위가 밀려 ‘목표시간 내에 총수와의 회동을 성사시키지 못했다. 일각에선 일부 대기업 총수들이 김 위원장과의 회동을 불편하게 생각해 소극적이라는 뒷말도 나오고 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대기업총수와의 회동 추진은 지금도 진행형”이라며 의지를 분명히 했다.

그는 그동안 기회가 있을 때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동반성장은 한국경제의 선택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라고 역설해왔다. 선진국들도 기업협력 네트워크를 건강하게 만들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

김 위원장은 글로벌 경쟁양상이 개별 기업 간 경쟁에서 기업네트워크 간 경쟁으로 빠르게 전환되는 상황임을 강조하며 기존의 가격경쟁력에 초첨을 맞춘 비용 최소화 전략만으로는 더이상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없다고 지적했다.

반면에 품질과 브랜드가치 경쟁력에 초점을 맞춰 대-중소기업이 힘을 합치는 동반성장전략이야말로 기업과 국가의 번영을 담보해 줄 수 있다는 게 김 위원장의 지론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정부가 강압적으로 동반성장 정책을 추진하기보다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그는 “대기업들이 동반성장의 틀에서 적극 협조해 줄 것을 정부는 요청하지만, 강제로는 안한다”면서 “기업들이 (동반성장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면 (조사 등 제재에 대해) 신중히 접근할 생각”이라고 분명히 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기업들이 정부의 ‘동반성장 드라이브’에 마지못해 참여하는 척하면서 실제로는 이를 이행하지 않는 ‘무늬만 동반성장 정책’에 대해선 강력 제재할 것임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기업들이 앞에서는 동반성장 협약을 체결하면서 뒤에서 이에 아랑곳하지 않고 과거의 잘못된 모습을 반복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격앙된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삼성그룹 이건희 회장이 회사 내 만연된 부패를 강력 비판하며 중소기업과의 투명하고 공정한 거래를 강조한 데 대해 환영하면서도 “좀 더 지켜볼 것”이라며 평가를 미뤘다.

이와 관련, 공정위 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얼마전 동반성장 워크숍에서 “이제부터는 대ㆍ중소기업 모두 구체적인 행동을 통해 실질적인 동반성장을 이뤄나가야 할 때”라고 말한 점을 상기시켰다.

이 회장과 삼성그룹이 동반성장에 대한 의지를 밝힌 만큼 이젠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는 것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