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中·北 3각무역 중심지 될 것 한국정부 실질적 재정지원 필요”

“韓·中·北 3각무역 중심지 될 것 한국정부 실질적 재정지원 필요”

입력 2011-06-27 00:00
수정 2011-06-27 00:1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학동 웨이하이 한인회장

“최근 북한의 황금평과 위화도 개발에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중국분과 식사를 했는데 ‘북한은 투자처이지 시장은 아니다’라고 합디다. 다만 향후 한·중·북의 3각 무역 길이 열리면 이곳 웨이하이가 중심지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미지 확대
이학동 웨이하이 한인회장
이학동 웨이하이 한인회장
지난 21일 중국 산둥성 웨이하이의 한 호텔에서 만난 이학동 웨이하이 한인상공회장의 표정은 밝지 못했다.

600여명의 직원을 두고 일본 수출용 여성 의류를 생산하는 이 회장도 최근 다른 한인업체와 마찬가지로 ‘차이나플레이션’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이다. 이곳 업계 관계자들에 따르면 중국은 잉여 노동력을 더 이상 확보할 수 없어 임금이 오르는 ‘루이스 전환점’을 넘어선 상태다. 그는 “(한인 기업) 대부분은 합자 형태로, 한국 기업도 중국 기업도 아닌 데다 1000~3000명의 직공을 데리고 있어 위기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면서 “부단한 체질 개선 등으로 사업의 돌파구를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인 기업들이 중국 고성장 기조를 타고 있는지.

-기업 환경은 점점 악화되고 있다. 중국 내 복지정책이 강화되면서 (직공의) 인건비와 5대 사회보험비가 크게 올랐다. 내륙이나 제3국으로 옮기는 업체도 많다. (한인 기업에 대한) 중국 정부의 인센티브도 거의 없고 과거와 달리 정책 시행 6개월 만에 지방까지 영향을 받는다.

→한국정부의 지원은.

-코트라의 정보 제공은 다소 늦고, 정부는 실질적인 재정 지원 등은 없이 우리에게 중국 정책의 변화 내용을 배워 가기에 바쁘다. (한국) 공관들의 역량은 현실을 못 따라간다. 기업금융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해법은. 장보고의 후손임이 도움이 되나.

-기업들이 어렵기만 하면 어떻게 살겠나. 예컨대 이곳은 직접 시설 투자보다 서비스 산업 진출 등이 바람직하다. 지역민들도 장보고는 대부분 인정한다. 우리도 자긍심을 갖고 일하고 있다.

웨이하이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6-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