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찍어내는 만큼 책임져야” 美국채 수천억 달러 손실 격앙
“미국은 (신용등급 강등) 탓만 하지 말고, 스스로 책임을 져야 할 때이다.”최대 채권국인 중국이 8일 미국에 대해 노골적이면서 신경질적으로 반발하고 나섰다. 신화통신은 8일 영문 논평을 통해 “워싱턴의 ‘버릇없는 아이들’은 더 큰 손해를 초래하기 전에 치킨게임을 그만두라.”며 ‘불온한’ 언사도 서슴지 않았다. 논평은 미국이 세계 기축통화를 찍어내는 만큼 달러를 보유한 다른 나라들에도 책임을 져야 한다며 “그런 나라가 자신의 이익에만 매달린다면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이 반발하는 것은 무엇보다 미국의 ‘더블딥’ 우려로 3차 양적 완화 가능성이 흘러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월스트리트저널과 파이낸셜타임스는 3차 양적 완화가 또다시 논의되고 있다면서 지난해 잭슨홀 회동 때 2차 양적 완화 구상을 밝힌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이 이르면 9일 또는 오는 26일 연례 잭슨홀 회동에서도 뭔가를 내놓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라고 보도했다. 미국이 경기부양을 위해 또다시 돈을 풀 경우 달러 약세로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 가치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중국은 지난 5월 말 현재 미 국채 1조 1600억 달러(약 1250조원)어치를 보유하고 있다. 이번 신용등급 하락으로 미 국채가 20~30% 정도 떨어질 것이라는 시장 분석을 감안하면 가만히 앉아서 2300억~3400억 달러의 손실을 보는 셈이다. 리제 중국 중앙재경대학 교수는 “(신용 강등의) 가장 큰 피해자는 중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문제는 미 국채를 쉽게 내다팔 수도 없다는 데 있다. 중국이 보유한 미 국채가 워낙 거액이어서 대량 매각이 쉽지 않고 매각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가격이 폭락해 자산가치가 크게 줄 수 있다. 현재 세계 채권시장에서 미 국채의 비중은 60%이고, 2위인 프랑스 국채 비중은 11%에 불과하다. 미 국채를 팔려고 내놔도 뚜렷한 매수세가 없다는 것도 악재다. 경제력 2위인 일본은 대지진으로 앞가림을 못하고, 유럽연합(EU)은 남유럽국가의 재정위기로 제 코가 석자나 빠져 있는 실정이다.
중장기적 전망도 어두운 편이다. 지금 상황으로 볼 때 미국이 단기간에 신용등급을 회복하기 쉽지 않은 까닭이다. 과거 캐나다와 호주는 AAA등급에서 탈락했다가 다시 제자리를 찾는 데 각각 8년, 16년이 걸렸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1-08-09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