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계부채 연착륙을 위한 대출구조 개선 작업과 관련해 고정금리로 인정되는 새로운 대출상품의 개발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는 지난 6월 29일 정부가 전체 대출의 5% 수준인 은행들의 고정금리와 비거치식 분할상환대출 비중을 2016년까지 30%로 확대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금융감독원이 고정금리 대출로 인정받을 수 있는 세부기준을 발표한 데 따른 후속조치다.
금감원의 세부기준에 따르면 금리변동 대출상품이더라도 금리변동주기가 5년 이상이면 전체 실적 가운데 10% 내에서 고정금리 상품으로 인정된다. 다만 만기 3년 미만의 고정금리 대출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고정금리 상품을 하나둘씩 시장에 내놓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10일 5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금리고정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대출 신규일로부터 최초 5년간 대출금리를 고정한 뒤 5년 경과 후 잔여기간 동안은 고객의 선택에 따라 6개월 변동 또는 1년 변동 코픽스(잔액 기준)에 연동해 대출금리가 결정된다. 대출기간은 6년에서 35년이며 분할상환방식이다.
외환은행은 지난달 3년과 5년 고정금리형 중 선택이 가능한 안심전환형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3년형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5년형은 고정금리로 인정된다. 5년 고정금리형의 대출금리는 지난 26일 현재 연 5.0%다. 국민은행도 최근 3년에서 15년까지 만기를 정할 수 있는 고정금리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만기에 따라 17일 기준 연 5.41∼6.21% 수준의 대출금리가 적용된다.
신한은행이 최근 출시한 금리안전모기지론의 경우 5년 이상 고정금리를 적용하거나 5년 고정금리 적용 후 1년 변동 코픽스 연동형 변동금리로 전환할 수 있다. 하나은행도 5년 이상 고정금리형 대출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앞으로도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고정금리 상품을 출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금감원의 세부기준에 따르면 금리변동 대출상품이더라도 금리변동주기가 5년 이상이면 전체 실적 가운데 10% 내에서 고정금리 상품으로 인정된다. 다만 만기 3년 미만의 고정금리 대출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고정금리 상품을 하나둘씩 시장에 내놓고 있다. 2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지난 10일 5년간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금리고정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대출 신규일로부터 최초 5년간 대출금리를 고정한 뒤 5년 경과 후 잔여기간 동안은 고객의 선택에 따라 6개월 변동 또는 1년 변동 코픽스(잔액 기준)에 연동해 대출금리가 결정된다. 대출기간은 6년에서 35년이며 분할상환방식이다.
외환은행은 지난달 3년과 5년 고정금리형 중 선택이 가능한 안심전환형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3년형은 고정금리 상품으로 간주되지 않지만 5년형은 고정금리로 인정된다. 5년 고정금리형의 대출금리는 지난 26일 현재 연 5.0%다. 국민은행도 최근 3년에서 15년까지 만기를 정할 수 있는 고정금리 모기지론을 출시했다. 이 상품은 만기에 따라 17일 기준 연 5.41∼6.21% 수준의 대출금리가 적용된다.
신한은행이 최근 출시한 금리안전모기지론의 경우 5년 이상 고정금리를 적용하거나 5년 고정금리 적용 후 1년 변동 코픽스 연동형 변동금리로 전환할 수 있다. 하나은행도 5년 이상 고정금리형 대출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앞으로도 고객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다양한 고정금리 상품을 출시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임주형기자 hermes@seoul.co.kr
2011-08-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