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수 한은총재 밝혀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21일(현지시간) 한국이 가계부채 문제로 금융위기를 맞을 확률은 매우 낮다고 밝혔다. 그는 또 유로존 위기가 한국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2008년 (한국 경제가) 어려웠을 때와는 다르다.”면서 “(한국)채권 시장에 전반적으로 계속 돈이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김 총재는 이날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 합동 연차총회 참석차 미국 워싱턴DC를 방문, 한국 특파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미국의 서브프라임 사태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 등은 담보가 무수익 자산이 되면서 금융기관이 위기를 맞은 것”이라면서 “반면 우리나라는 주택담보인정비율(LTV) 규제가 강하기 때문에 미국, 일본처럼 금융기관이 갑자기 위기를 맞을 확률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LTV가 47.2%가 안 되지만 미국 서브프라임은 75~80%, 일본은 100%를 넘어갔다.”면서 “대한민국의 부동산 값이 떨어진다 해도 얼마나 떨어지겠느냐. 절반 값으로 떨어지는 일은 없지 않겠느냐.”라고 했다.
그는 원·달러 환율이 최근 급등하는 데 대해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앞으로는 이렇게(급등)는 (계속)되지 않을 것 같다.”고 했다. 금리 추가 인상 여부에 대해서는 “(시장에서는) 내려가는 것보다는 올라가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말로 대신했다. 그는 “한국은행이 지금까지 매입한 금 규모가 우리 경제 규모에 비해 큰 것은 아니다.”면서도 추가 매입 여부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김 총재는 미국이 더블딥에 빠질 확률은 높지 않다고 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1-09-23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