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순익 1%·직원 급여 끝전 모아 이웃돕기

한국수출입은행, 순익 1%·직원 급여 끝전 모아 이웃돕기

입력 2011-11-23 00:00
수정 2011-11-2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출입은행은 전문성을 살린 사회공헌 활동으로 ‘온기가 흐르는 협력모델’을 만들어 가고 있다. 일회성 행사는 지양하고, 공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공헌활동을 펼치는 것이 목표다.
이미지 확대
김용환(왼쪽 세 번째) 수출입은행장이 최근 서울 영등포역 근처 무료 급식소 ‘광야의 집’에서 직원들과 함께 무료 점심 배식을 하고 있다.
김용환(왼쪽 세 번째) 수출입은행장이 최근 서울 영등포역 근처 무료 급식소 ‘광야의 집’에서 직원들과 함께 무료 점심 배식을 하고 있다.


특히 최근 금융권의 탐욕을 비판하는 ‘반 월가시위’가 일어나는 등 시대적인 요구에 부응하고자 조직원 개개인의 기부활동도 확대할 계획이다. 수은은 2008년부터 순이익의 1%와 직원 급여의 끝전을 모아 3년간 사회공헌활동 재원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54억 4000만원을 모았고, 올해는 20억 5000만원을 이웃돕기에 쓸 예정이다. 내년에는 올해보다 지원금을 50% 늘려 30억원을 사회공헌예산으로 쓸 계획이다.

사회공헌활동은 ▲노숙자, 독거노인, 결손가정 등 저소득층 지원 ▲수은의 글로벌 특성을 반영한 국외 활동 ▲다문화 가정 및 탈북자의 사회적 적응 돕기 ▲임직원의 전문성을 기부하는 재능기부(프로보노) 등 4가지 방향으로 전개하고 있다. 임직원 봉사 단체인 ‘수은 나눔봉사단’은 노숙자 무료배식, 농촌 일손돕기, 집중호우 피해 지역 등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곳을 찾아다닌다. 수은은 대외경제협력기금(EDCF) 운영으로 축적한 개발도상국 빈곤퇴치 노하우를 바탕으로 굿네이버스 등 민간 원조기관과 손잡고 개도국 민간 개발사업을 후원하고 있다.

수은은 정부의 다문화가정 지원이 대부분 수도권에 집중돼 있는 점을 감안해, 광주, 강원 홍천 등 다문화 가정이 모여 있는 지방에 공부방, 도서관을 짓고 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11-23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