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탄용품 매출 전년대비 204% 증가

성탄용품 매출 전년대비 204% 증가

입력 2011-11-28 00:00
수정 2011-11-28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불경기 연말 외식 대신 홈파티

불경기가 일반 가정의 소비 형태를 바꾸고 있다. 대형마트에서는 감이 사과 매출을 추월하는 사상초유의 일이 벌어졌다.

27일 롯데마트에 따르면 이달 1~24일 과일 매출을 분석한 결과 감 매출이 사과 매출을 12% 앞질렀다. 월 단위로 감이 사과보다 더 많이 팔린 것은 롯데마트 창립 이래 처음이다. 마트 관계자는 “출하량이 늘면서 감 가격은 내려가고, 작황이 좋지 않은 사과 가격은 오르면서 나타난 현상”이라고 진단했다.

사과는 잦은 폭우로 올해 출하량이 지난해보다 20~30% 줄면서 한 박스(15㎏) 가격이 지난해 5만 4780원에서 올해 6만 6000원으로 올랐다.

반면 감은 늦더위로 일조량이 많아 출하량이 20% 늘면서 가격이 10% 떨어졌다. 단감 한 박스(10㎏)가 지난해 3만 9600원에서 3만 6000원으로 하락했고, 매출은 전년 대비 70%가량 늘었다.

소비심리가 잔뜩 움츠러들었는데도 성탄절을 앞두고 트리, 조명 등 크리스마스 용품들은 불티나게 팔리고 있다. 이마트는 예년보다 3주나 이른 이달 4일부터 크리스마스 특설매장을 설치했다. 4~25일 크리스마스 상품 매출은 지난해 동기보다 204% 증가했다. 가정에서 외식비 등 연말 큰 지출을 줄이는 대신 집안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고 가족과 함께 보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이마트는 진단했다.

마트 관계자는 “연도별 매출 분석 결과 글로벌 금융위기였던 2008년 말 크리스마스 상품 매출은 전년 대비 두 자릿수(15%)의 증가율을 기록했다.”며 “그러나 그때보다 경기가 좋았던 2009년 말에는 5%, 유통업계가 호황을 누린 작년 말에는 8%로 2008년 증가율에 못 미쳤다.”고 설명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

2011-11-28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