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기준금리 8개월째 동결했지만…

금통위, 기준금리 8개월째 동결했지만…

입력 2012-02-10 00:00
수정 2012-02-10 00:1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중수 “물가 높은 상태 머물러”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견제 의도

경기와 물가 사이에서 고민이 깊던 한국은행이 물가 쪽으로 우려의 추(錘)를 조금 옮겼다. 그렇다고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아니다. 경기가 바닥을 찍었다는 징후가 확실히 나타나지 않아 금리를 내리지는 않겠지만 언제든지 올릴 수 있다는 신호를 시장에 줌으로써 인플레이션 기대심리를 견제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
김중수 금융통화위원장 겸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서울 중구 명동 한은 본점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금통위 회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김중수 금융통화위원장 겸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서울 중구 명동 한은 본점에서 의사봉을 두드리며 금통위 회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박지환기자 popocar@seoul.co.kr
김중수 금융통화위원장 겸 한국은행 총재는 9일 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8개월째 동결(연 3.25%)한 뒤 기자들과 만나 “국민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심리(4.1%)가 높게 이어지고 있고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 등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 위험, 공공요금 인상 요인 등이 있어 물가가 높은 상태에 머물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까지만 해도 금통위 발표문에 “물가상승률의 하락 속도가 완만할 것”이라는 표현이 들어갔지만 이 달에는 아예 빠졌다. 물가에 대한 우려 수위를 올린 것이다.

국내 경제는 수출 둔화와 내수 부진 등으로 더 나빠질 위험이 있지만 하반기에 차츰 나아지는 ‘상저하고’ 전망이 유효하다고 진단했다. 무역수지도 1월에는 적자를 보였지만 1분기 통틀어서는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다시 불거진 중국 경제의 경착륙 우려와 관련해서는 “(경착륙) 가능성이 매우 낮다.”면서 “(얼마 전 국제통화기금의 ‘반토막 성장’ 전망과 달리 올해 성장률이) 8%대 중후반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가 부도설이 제기됐던 일본 경제도 하반기부터 나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미현기자 hyun@seoul.co.kr



2012-02-10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1 /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