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시점 금주에 가닥 잡힐 듯

한미 FTA 발효시점 금주에 가닥 잡힐 듯

입력 2012-02-19 00:00
수정 2012-02-19 13: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시점이 이번 주에 정해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해졌다.

19일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에 따르면 최석영 외교부 FTA 교섭대표는 미국 시애틀에서 19~20일(현지 시간) 이틀간 웬디 커틀러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부와 만나 양국 FTA 이행준비 상황을 점검한다.

최 대표와 커틀러 대표부가 수석대표로 참석하는 이번 고위급 회의는 지난달 말에 이은 두번째로 사실상 테이블을 사이에 둔 마지막 대면회의로 알려져 결과가 주목된다.

양측은 이행준비가 만족할만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하면 발효준비가 완료됐다는 서신을 늦어도 이달 안에 교환할 예정이다.

협정문에 한미 FTA 발효시점은 서신교환 후 60일 이내 또는 양국이 정한 날로 한다.

통상교섭본부 관계자는 “양국의 발효준비는 95% 이상 마무리된 상태로 보면 된다”며 “회의가 끝나봐야 알겠지만 결과가 좋으면 이번주에 FTA 발효시점의 가닥이 잡힐 수 있다”라고 기대했다.

두 나라는 작년 11월 22일 우리 국회가 한미 FTA 비준동의안을 처리하고서 12월 초부터 수차에 걸친 대면회의, 화상회의, 정보교환 등을 통해 법률안의 협정문 합치 등 이행상황을 점검해 왔다.

우리 정부는 한미 FTA 발효를 1월 1일 목표로 잡았다가 미국의 연말연시 휴가 시즌과 법률안의 번역작업 지연 등이 겹치면서 2월 말 혹은 3월 초로 시점을 늦춰 발효준비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