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FTA 발효로 수입차업계 공세 강화

한미FTA 발효로 수입차업계 공세 강화

입력 2012-03-14 00:00
수정 2012-03-14 13:5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5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를 앞두고 수입차업계의 공세가 거세지고 있다.

미국 자동차 ‘빅3’가 자동차와 부품 가격을 내린 것은 물론이고 일본, 독일 등 업체도 미국산 자동차 가격을 낮췄다.

포드세일즈서비스코리아는 포드와 링컨 2012년형 전 모델의 가격을 최대 525만원 인하하고 부품가격도 소비자가 기준 평균 20% 내린다고 14일 밝혔다.

GM 코리아는 이미 지난달 말 캐딜락 전 차종의 가격을 100만~400만원 내렸으며 크라이슬러도 랭글러, 그랜드 체로키, 컴패스 등의 2012년형 연식 변경 모델 가격을 2~3% 인하했다.

일본 브랜드 도요타도 올 1월 출시한 신형 캠리 가격을 구형보다 100만원 낮추는 등 미국산 시에나와 캠리에 관세 인하분을 미리 반영한 가격을 책정했다.

BMW는 미국산인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X3, X5, X6 가격을 내린다. X5 x드라이브40d는 300만원 이상 인하된다.

판매 가격 인하에는 관세 4% 인하분 외에도 FTA 발효와 함께 배기량 2천㏄ 초과 차량에 대한 개별소비세가 10%에서 8%로 인하되는 것도 반영됐다.

개소세 인하는 미국산 외에도 해당해 다른 글로벌 업체들도 해당 차종의 가격을 속속 낮추고 있다.

한국지엠은 알페온 2.4 및 3.0 가격을 69만~94만원, 알페온 이어시스트 디럭스 및 프리미엄 모델은 87만~91만원, 쉐보레 말리부 2.4는 72만원, 캡티바 2.2는 최대 81만원 인하한다.

폴크스바겐코리아는 페이톤 V6 4.2 LWB와 투아렉 V8 4.2 TDI R-라인 가격을 150만~300만원 내렸으며 BMW도 740Li를 210만원 인하하는 등 2천㏄ 초과 차량 가격을 내린다.

판매가격이 내려가면 취득세, 등록세, 공채 매입가 등에도 영향을 미쳐 소비자가 체감하는 혜택은 더욱 늘어나게 된다고 업계는 설명하고 있다.

수입차 업계의 한 관계자는 “FTA로 수입차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가격을 내린 만큼 실제 판매가 얼마나 늘어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