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삼성, 1억6000만弗 ‘수혈’

르노삼성, 1억6000만弗 ‘수혈’

입력 2012-07-21 00:00
수정 2012-07-21 01: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닛산 CUV 위탁생산설비 투자… 내수 부진 위기 극복 토대 마련

내수 판매 부진으로 벼랑 끝에 몰린 르노삼성을 살리기 위해 모회사 격인 ‘르노-닛산 얼라이언스’가 1억 6000만 달러(약 1700억원)를 투자한다.

이 자금은 닛산의 차세대 크로스오버 차량(CUV) 등 위탁생산설비를 갖추는 데 투자된다. 르노삼성은 ‘위탁생산’을 통해 생명을 이어갈 수 있는 터전이 마련된 셈이다. 하지만 내수시장에서 40~50%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는 르노삼성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는 르노삼성 부산공장에서 닛산의 차세대 CUV인 ‘로그’를 생산할 계획이라고 20일 밝혔다. 르노삼성 부산공장은 닛산 ‘로그’의 차세대 모델을 2014년부터 연간 8만대 규모로 위탁 생산해 전량 수출하게 된다.

카를로스 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 회장은 “이번 전략적 결정은 르노그룹과 닛산, 르노삼성 3사가 전 세계적으로 협업하는 ‘윈·윈·윈’ 전략의 대표적인 사례”라고 밝혔다. 르노삼성은 닛산 차 위탁생산을 통해 부산공장의 가동률을 높여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 또 르노그룹은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아시아·태평양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생산 거점을 확보할 수 있다. 닛산도 엔고에 따른 생산원가 문제를 해결하고, 한·유럽연합(EU)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도 활용할 수 있는 게 이점이다.

반면 신차 출시 등의 투자계획은 없다는 점에서 르노삼성 위기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되는 내수판매 부진은 당분간 해결이 쉽지 않을 전망이다. 르노삼성은 올 하반기 SM3와 SM5의 페이스리프트(부분변경) 모델에 이어 내년에는 전기차인 SM3 Z.E, 소형 CUV를 새롭게 출시할 계획이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2-07-2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