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자주 쓰는 아이 ‘건성안’ 확률 높다”

“스마트폰 자주 쓰는 아이 ‘건성안’ 확률 높다”

입력 2012-07-31 00:00
수정 2012-07-31 09: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중앙대병원 문남주 교수팀, 초등학생 건성안 실태조사

스마트폰을 자주 사용하는 아이에게 건성안이 생길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스마트폰이 아이들의 눈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는 게 실제로 입증된 셈이다.

건성안은 눈물 중 수분이 부족하거나, 눈물층에 병적인 변화가 일어나 안구 표면이 손상되고 이 때문에 눈의 불쾌감과 자극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이다. 이런 건성안은 당장 눈이 불편하기 때문에 손으로 비비기 쉬운데 이렇게 장기간 방치될 경우 눈에 상처나 염증 등 2차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

중앙대학교병원 안과 문남주 교수팀은 지난 5월 초등학생 5~6학년 288명을 대상으로 건성안에 대한 실태조사를 한 결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는 아이일수록 건성안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조사 대상 아이들의 건성안 유병률은 9.7%(28명)였다. 건성안으로 진단된 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율은 71.4%로 건성안이 없는 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율(50%)보다 훨씬 높았다.

또 스마트폰 외에도 텔레비전과 컴퓨터 등 영상매체의 총 사용시간이 길수록 건성안이 잘 생기는 것으로 조사됐다.

하루 명상매체 사용시간이 1시간 이하인 아이들의 건성안 발생빈도는 5% 이하였지만 1~2시간 6%, 2~3시간 15%, 3시간 이상 30% 등으로 시간이 길어질수록 발생빈도가 급증했다.

이처럼 스마트폰이나 텔레비전, 컴퓨터 등을 사용할 때 건성안이 잘 생기는 것은 시선을 한 곳에 오랫동안 집중할 경우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적어지기 때문이라는 게 의료진의 설명이다.

문남주 교수는 “건성안은 각막 손상은 물론 눈 피로감이나 이물감 등 여러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만큼 치료가 필요하다”면서 “특히 소아에게서 각막 손상 등이 지속될 경우 시력발달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조기 진단이 필요하다”고 권고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