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U+ 2분기 영업익 31억원…94.8%↓

LGU+ 2분기 영업익 31억원…94.8%↓

입력 2012-07-31 00:00
수정 2012-07-31 11: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LG유플러스(U+)는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1억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31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7천990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1.5%, 직전 분기 대비 9.7% 성장했다. 당기순이익은 32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 적자로 돌아섰다.

영업이익이 대폭 감소한 것은 이동전화 가입자를 늘리기 위해 마케팅 비용을 대거 지출했기 때문이다. 2분기 마케팅 비용은 4천866억원으로 작년 동기 대비 23.5%, 직전 분기 대비 38.8% 늘었다.

롱텀에볼루션(LTE) 망 투자비 지출도 영업이익에 타격을 줬다. 멀티캐리어 상용망 구축 LTE 망 고도화 작업으로 시설투자(CAPEX)가 작년 동기 대비 62.6% 증가했다.

영업성과를 보면 무선사업은 LTE 가입자 증가로 수익이 커져 작년 동기 대비 16.6%, 지난 1분기 대비 10.5% 성장한 9천875억원을 기록했다.

LTE 가입자는 기존 2G 가입자보다 많은 요금을 내기 때문에 가입자당평균매출(ARPU)도 올랐다. 이 회사의 2분기 무선 ARPU는 3만3천871원으로 작년 동기보다 9.6% 증가했다.

유선·기업사업은 작년 동기 대비 1.3% 증가한 7천597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IPTV 가입자 증가를 바탕으로 TPS(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IPTV 결합상품) 가입자가 증가한 것도 유선사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이 회사의 TPS 가입자는 작년 동기보다 7.7% 늘었고, 수익은 1.7% 증가했다.

LG유플러스 경영관리실 성기섭 전무는 “LG유플러스는 LTE 전국망 등 경쟁력을 바탕으로 순증 가입자 시장을 석권했다”며 “앞으로 마케팅 비용을 축소해나가면 수익성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클라우드게임 전용 오픈마켓 ‘C-게임즈’ 등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와 콘텐츠에 역량을 집중하고, 음성과 데이터를 결합한 서비스, 차량 관제 등 사물통신(M2M) 사업을 강화해 매출을 늘리겠다고 밝혔다.

또 하반기 상용화할 VoLTE(Voice over LTE)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 800㎒ 주파수 외에 2.1㎓ 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2.1㎓ 대역을 활용한 멀티캐리어 서비스를 연말까지 6대 광역시, 내년 84개 시로 확대할 계획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