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약은 언제부터? 정부-병원 갈등

고혈압약은 언제부터? 정부-병원 갈등

입력 2012-10-16 00:00
수정 2012-10-16 15:0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어느 정도의 혈압부터 약물 치료가 필요한지를 놓고 보건당국과 병원이 큰 시각 차이를 드러내고 있다.

16일 대한병원협회(병협)는 최근 보건복지부가 입안예고한 고혈압약제 요양급여 적용기준 및 방법 세부사항 고시개정안에 대해 “약물을 적극 사용하지 못하도록 여러 장치를 마련한 것으로, 약제비는 줄지라도 환자의 건강을 해칠 가능성이 크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병협에 따르면 이번 고시개정안은 위험인자가 없는 140/90mmHg 수준의 혈압 환자에게 초기 약물치료를 금지하고 160/90mmHg를 넘는 경우에만 초기 치료법으로서 약물 투여를 허가했다.

또 심한 고혈압으로 4가지 종류 이상의 혈압약을 쓸 필요가 있는 경우 반드시 소견서를 제출한 경우에만 투약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 병협은 140/90mmHg 정도의 혈압부터 약물을 포함해 보다 적극적 치료를 권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라며 최근 논문을 근거로 설명했다.

미국심장학회(AHA)의 권고(2007년)도 140/90mmHg 수준 혈압부터 조기에 약물치료와 체중감량·저염식 등 생활습관 교정을 병행하라는 것이고, 생활습관 교정만으로 치료가 가능한 수준은 120∼139/80∼89mmHg의 전(前)고혈압 단계 뿐이라는 설명이다.

더구나 AHA는 140/90mmHg의 1단계 고혈압이라도 한 가지 종류의 약으로 혈압 조절이 안 되는 경우, 두 가지 종류 이상의 약을 써서라도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라고 병협은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