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내리자 예금금리 뚝… 대출금리는 ‘찔끔’
지난 11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3.0%에서 2.75%로 0.25% 포인트 내리자 시중은행들도 금리를 따라 내렸다. 금융당국의 ‘눈치’를 보느라 예금 금리 인하 폭은 당초 작정했던 것보다 작게 잡았다. 저금리 장기화에 따른 고객 이탈 등을 의식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도 인하 폭을 줄인 한 원인이었다. 하지만 대출 금리는 예금 금리보다 더 찔끔 내려 은행들의 얌체 영업 행태는 여전했다.
우리은행은 ‘키위정기예금(2차)’ 금리(연 3.3%→3.10%)를 0.2% 포인트 내렸다. 하나은행도 대표상품인 ‘369 정기예금’ 금리(1년 만기)를 예금액 3000만원 이상인 경우 연 3.35%에서 3.25%로, 1억원 이상은 3.4%에서 3.3%로 낮췄다. ‘하나 e-플러스 정기예금’은 3년제만 연 3.4%에서 3.3%로 조정했다. 신한은행은 ‘민트정기예금’(24개월 기준) 금리를 3%에서 2.95%로 0.05% 포인트 내렸다. 국민은행은 지난 15일 ‘국민수퍼정기예금’ 금리를 0.04% 포인트 낮춘 연 3.31%로 고시했다.
대출 금리 인하 폭은 예금 금리보다 미미하다. 우리은행의 ‘고정금리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15~4.65%에서 4.05~4.55%로 0.1% 포인트 내려갔다. 이 은행의 예금 금리 인하 폭(0.2% 포인트)의 절반이다. 농협은행의 ‘프리미엄 모기지론’ 금리는 연 3.63~5.35%에서 3.62~5.32%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국민은행의 ‘KB신용테크론 일반자금대출’의 금리도 연 6.33~9.64%에서 6.31~9.62%로 0.02% 포인트 낮추는 데 그쳤다.
신한은행은 ‘신한 엘리트론’ 금리를 연 5.68~7.08%에서 5.47~6.87%로 0.21% 포인트 내렸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17일 시중은행 부행장들을 불러 대출 금리 인하를 강하게 주문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출 금리가 기준금리 인하 폭만큼 떨어지려면 가산금리를 내려야 하는데 예대마진(금리 차익) 관리상 쉽지 않다.”고 털어놓았다.
한편 한국은행이 집계한 예금금리별 수신 비중을 보면 올해 8월 연 4% 미만 정기예금 비중은 전체 정기예금의 98.4%로, 시중은행 정기예금 금리는 대부분 3%대 초·중반이다.
김진아기자 jin@seoul.co.kr
2012-10-19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