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나오자 PC로 포털 안본다”…이용 최대 71% 감소

“앱 나오자 PC로 포털 안본다”…이용 최대 71% 감소

입력 2013-04-28 00:00
수정 2013-04-28 08: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마트폰 사용이 확산하면서 컴퓨터를 통한 네이버, 다음 같은 포털 사이트의 이용이 급격히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인터넷시장조사기관인 닐슨코리안클릭에 따르면 국내 1∼3위의 포털인 네이버, 다음, 네이트의 월별 순 방문자(UV), 페이지 뷰(PV), 평균 체류시간은 모바일 웹 서비스와 전용 애플리케이션(앱)이 나오기 전보다 크게 하락했다.

3월 컴퓨터로 네이버를 방문한 사람이 둘러본 전체 페이지 뷰는 189억8천만 쪽으로 네이버 모바일 웹서비스와 스마트폰 앱 등장 직전인 2009년 5월의 242억6천만 쪽보다 21.8% 감소했다.

네이버는 2009년 6월 모바일 웹 서비스를, 2010년 10월 앱 서비스를 시작했다.

포털에 접속한 이용자 한 사람이 머무는 시간도 같은 기간 평균 405분에서 313분으로 22.6% 감소했다.

다만 중복되는 방문자를 제외한 순 방문자 수는 3천192만명으로 2009년 5월(3천106만명)보다 2.8% 늘었다.

시장점유율 1위인 네이버와 달리 2위와 3위인 다음과 네이트는 월별 순방문자도 줄었다. 포털의 인지도가 낮을수록 컴퓨터로 접속하는 방문객이 더 빨리 사라진 셈이다.

2008년 8월 모바일 웹 서비스를 하고 2010년 4월 앱을 출시한 다음은 올해 3월 2천795만명이 순 방문해 2008년 7월의 2천943만명보다 5.0% 감소했다.

같은 기간 페이지 뷰는 204억7천만 쪽에서 113억2천만 쪽으로 44.7%, 평균 체류시간은 341분에서 215분으로 36.9% 줄었다.

시장 점유율 3위 포털인 네이트는 모바일 웹 서비스와 앱 출시 직전인 2010년 5월 순방문자가 2천500만명에 달했으나 올해 3월까지 37.8% 줄어 1천556만명으로 감소했다.

네이트의 모바일 웹 서비스와 앱은 각각 2010년 6월과 12월에 나왔다.

이 포털의 페이지 뷰는 2010년 5월 75억3천만 쪽에서 올해 3월 21억6천만 쪽으로 3년 만에 71.3% 급감했다. 1인당 평균 체류시간도 163분에서 91분으로 44.3% 짧아졌다.

업계에서는 모바일 웹과 앱의 출현 후 컴퓨터를 통해 포털을 이용하는 비율이 급감한 것은 네트워크 세상의 중심이 PC에서 모바일로 옮겨가는 흐름의 일부라고 분석했다.

한 포털업체 관계자는 “순방문자보다 페이지 뷰의 감소폭이 큰 것은 포털을 많이 활용하는 사람일수록 컴퓨터 접속에서 더 빨리 이탈했다는 의미”라면서 “포털의 활용이 컴퓨터 기반에서 스마타폰으로 넘어가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최병주 코리안클릭 통계관리부장은 “PC를 통한 포털 활용 감소가 스마트폰 확산 때문이라고 단정 짓기는 어렵지만 스마트폰 이용자의 증가세를 볼 때 모바일을 통한 포털 이용도 증가했을 것”으로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