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업 중심 산업재편 원인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의 절반 이상은 중소기업 근로자로 나타났다.26일 통계청과 중소기업중앙회 등에 따르면 2011년 경제활동인구 2509만 9000명 중 중소기업 직원이 1262만 7000명으로 50.3%를 차지했다. 2000년대 들어 중소기업 종사자 비율이 50%를 돌파한 것은 처음이다. 전체 사업체 종사자 1453만 4000명 중 중소기업 종사자 비중이 86.9%에 달한다. 대기업 종사자는 190만 7000명으로 중소기업 종사자의 15.1%에 불과했다. 사업체 수도 2011년 기준으로 대기업은 3000개, 중소기업은 323만 5000개로 중소기업이 99.9%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중앙회 관계자는 “중소기업 종사자가 많아진 이유는 산업구조, 고용패턴 등의 변화 때문”이라면서 “최근 산업구조가 대기업 위주의 제조업에서 중소기업 위주의 서비스업 중심으로 바뀌면서 중소기업 종사자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고말했다.
한편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더욱 커지고 있다. 대기업과 비교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연 평균 임금은 2003년 60.9%에서 2007년 58.4%로 줄었고, 글로벌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에는 54.6%로 감소폭이 커졌다. 2009년 56.7%로 조금 늘었지만 2010년 53.8%, 2011년 52.6%로 다시 감소세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3-08-27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