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여신금융협회가 3일 이용섭 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소비지출은 총 680조 7570억원이다. 이 중 결제 내역을 증빙할 수 있는 신용카드·직불카드·현금영수증 결제 수단 비중이 88.6%(603조 3410억원)다.
증빙 가능한 결제수단별 거래 규모는 신용카드 436조 5450억원(64.1%), 체크·직불카드 84조 3600억원(12.4%), 현금영수증 82조 4360억원(12.1%)이었다. 증빙 가능한 결제 수단의 비중은 2007년 58.6%, 2008년 65.7%, 2009년 71.1%, 2010년 77.5%, 2011년 84.7%로 매년 6~7%씩 상승했다.
신용카드와 직불카드의 결제 비중은 2007년부터 지난해까지 올라갔고, 현금영수증 비중은 재작년 동결된 후 지난해 조금 낮아졌다. 반면 현금 결제 비중은 2007년 41.4%에서 2008년 34.3%, 2009년 28.9%, 2010년 22.5%, 2011년 15.3%, 2012년 11.4% 등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졌다. 민간 소비지출이 매년 늘어나는 가운데 국세청에 신고되는 증빙 가능한 결제 비중이 90% 가까이 늘어났다는 것은 국내 민간부문의 지하경제가 상당부분 양성화됐다는 의미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10-04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