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조림 따다 손가락 부상…사고 4년새 60%↑

통조림 따다 손가락 부상…사고 4년새 60%↑

입력 2013-10-21 00:00
수정 2013-10-21 15:5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승조 “주의사항 표시 강화하고 안전용기 도입 지원해야”

한 번에 고리를 당겨 여는 ‘원터치’식 통조림 용기를 따다가 날카로운 뚜껑에 손가락 힘줄이 끊어지는 등의 사고가 빈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보건복지위 양승조 의원(민주당)이 한국소비자원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원터치 캔과 관련된 피해 사례는 2008년 126건에서 2012년 202건으로 4년새 60%나 늘었다.

최근 3년간 사고 신고가 들어온 캔을 종류별로 나눠보면, 참치캔이 80%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음료수캔(8.3%), 과일통조림(3.6%) 등에 상처를 입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

연령별로는 지난해 기준 10대 피해자의 사고가 130건으로 가장 많았고, 30대(98건)와 20대(88건)가 뒤를 이었다.

이런 원터치 캔 사고를 막고자 현행 ‘식품 등의 표시기준’은 제조사가 원터치 캔 통조림 표면에 ‘개봉 시 캔 절단부분에 손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라는 안내 문구를 넣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소비자원의 조사를 보면, 유통·판매 중인 원터치 캔 57%에서 주의 문구가 측면에 작은 글씨로 표시돼 잘 보이지 않았다.

또 기존 원터치 캔 뚜껑(스틸+알루미늄)보다 안전한 이지필 뚜껑(알루미늄 포일)이 사용된 제품은 46개 가운데 7개뿐이었다.

양 의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원터치 캔 관련 주의사항의 표시 기준을 강화하고, 업계가 더 안전한 포장 용기로 바꾸는 작업을 지원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