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법인 영리 자회사 설립 허용

의료법인 영리 자회사 설립 허용

입력 2013-12-14 00:00
수정 2013-12-1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역투자진흥회의서 확정

의료법인들이 병원을 운영하는 것 외에 휴양지에 호텔을 짓고 온천을 개발하고 자체 제약회사나 화장품회사 등을 차릴 수 있도록 정부가 법 개정에 나선다. ‘법인약국’의 설립도 다시 추진된다. 이해집단의 반발 등 논란이 예상돼 쉽사리 추진되지 못했던 것들이다. 이에 따라 입법 과정에서 상당한 난항이 예상된다.

이미지 확대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현 부총리, 서남수 교육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투자활성화를 위한 정부 종합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 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현 부총리, 서남수 교육부 장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방하남 고용노동부 장관.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정부는 13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 주재로 제4차 무역투자진흥회의를 열어 의료, 교육, 고용 등 분야의 규제개선 방향을 담은 투자 활성화 대책을 확정했다. 박 대통령은 “서비스 산업은 제조업에 비해 규제 개선만으로도 크게 성장할 수 있는 분야”라면서 “공공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서비스 산업 발전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규제 개선 방안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의료기관이 기업, 벤처캐피털 등의 투자를 받아 ‘자법인’(자회사)을 만들 수 있도록 의료법을 개정하기로 했다. 입법이 완료되면 길병원, 분당차병원, 을지병원 등 1120개 병원을 운영하는 848개 성실공익의료법인이 자회사를 설립할 수 있게 된다. 현재는 대학병원(교육법인)만 자회사 설립이 가능하다. 숙박, 여행, 의약품·화장품·건강식품·의료기기 제조 등 병원·요양과 관련된 업종이 대상이다. 동네 상권을 침범한다는 약사들의 반발로 늦춰졌던 법인약국도 유한책임회사의 형태로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본격적인 의료 민영화를 시도하려는 것”, “1차 의료기능으로서 약국의 역할을 무시하는 것” 등이라고 주장하며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3-12-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