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가 지난해 3월부터 고객, 협력회사, 임직원, 정부 등과 함께 진행한 ‘어린 생명 살리기 캠페인’에 참여한 고객이 5200만명을 돌파했다. 이를 통해 200여명의 소아암 어린이가 치료비를 지원받았다.
이미지 확대
홈플러스는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사면 판매대금의 일부를 기금으로 적립해 소아암 어린이를 돕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홈플러스는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사면 판매대금의 일부를 기금으로 적립해 소아암 어린이를 돕는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홈플러스 제공
어린 생명 살리기 캠페인은 고객이 캠페인 상품을 사면 홈플러스와 협력회사가 매칭그랜트 방식으로 각각 상품 매출의 1%씩, 최대 2%를 기부하고, 홈플러스 임직원과 정부, 비정부기구(NGO), 의료기관이 함께 백혈병 소아암 어린이를 돕는 사회공헌 운동이다.
캠페인 시작 후 지난 11월까지 5217만명이 캠페인 상품을 구매함에 따라 284개 협력사와 홈플러스가 각각 25억 5000만원씩 총 51억원의 기금을 마련했다. 기금은 치료가 시급한 소아암 어린이와 후유장애 어린이 197명을 돕는 데 쓰였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캠페인 참여 고객이 5200만명을 넘어선 것은 우리나라 국민이 한 번씩은 소아암 어린이를 도운 셈이라는 의미가 있다”면서 “많은 고객이 상품 구매 외에도 각 매장에 설치된 모금함을 통해 기부에 참여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는 앞으로도 소아암 어린이 치료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현재 139개 홈플러스 점포에서 진행 중인 어린 생명 살리기 캠페인 상품은 4600여 가지다. 김영기 홈플러스 사회공헌부문 총괄이사는 “쇼핑을 통해서도 기부가 가능한 어린 생명 살리기 캠페인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3-12-24 1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