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 등 10대재벌도 수익성 ‘곤두박질’

삼성·현대차 등 10대재벌도 수익성 ‘곤두박질’

입력 2014-03-10 00:00
수정 2014-03-10 09: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수익성지표인 영업이익률 SK·LG 제하고 모두 하락

삼성과 현대차 등 10대 재벌그룹들도 지난해 수익성이 급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재벌닷컴이 자산 규모 상위 10대 그룹 소속 84개 상장사(금융 계열 제외)의 지난해 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695조3천억원과 48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2.3%, 2.5% 늘었다.

그러나 수익성지표인 영업이익률은 SK와 LG를 제외한 삼성, 현대차, 롯데, 포스코, 현대중공업, GS, 한진, 한화 등 8대 그룹 모두 일제히 악화했다.

재계 순위 1위인 삼성그룹(13개사)은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223조1천억원과 23조4천억원으로 전년보다 8.8%, 6.6% 늘었으나 영업이익률은 10.48%로 전년보다 0.22%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현대차그룹(10개사)은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동시에 감소하면서 수익성도 악화했다.

현대차의 지난해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32조4천억원, 9조7천억원으로 전년보다 0.9%, 8.3% 감소했고 영업이익률도 2012년 7.95%에서 지난해 7.35%로 0.6%포인트 내려갔다. 현대차의 영업이익률 하락 폭은 세계 금융위기 이후 가장 컸다.

또 포스코그룹(7개사)과 현대중공업그룹(3개사)은 철강, 조선경기 침체로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급락하면서 수익성도 뚝 떨어졌다.

포스코는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각각 8.8%, 20.6% 감소한 52조원과 2조4천억원에 그치면서 영업이익률도 5.38%에서 4.69%로 0.7%포인트 하락했다.

현대중공업의 영업이익률은 2012년 4.34%에서 지난해 1.73%로 2.61%포인트 곤두박질쳤다. 지난해 매출액은 32조1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8% 줄어드는 데 그쳤으나 영업이익은 6천억원으로 62.1%나 급감했다.

한화그룹(3개사) 매출액은 전년보다 1.5% 증가한 9조1천억원이었으나 영업이익이 21.9% 줄어든 2천억원에 그쳐 영업이익률이 2.51%로 0.75%포인트 하락했다.

GS그룹과 한진그룹은 적자로 돌아섰다.

GS그룹(8개사)은 정유와 석유화학 경기침체의 직격탄을 맞아 매출액은 16조5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 줄었고 영업이익은 2012년 6천억원 흑자에서 지난해 4천억원 적자로 전환했다.

한진그룹(6개사) 역시 매출액은 전년보다 3.3% 줄어든 23조3천억원이지만 영업이익은 같은 기간 2천억원 흑자에서 3천억원 적자로 돌아서 실적 부진뿐 아니라 재무구조도 빨간불이 켜졌다.

반면 SK그룹(16개사)은 SK하이닉스의 실적 호조로 영업이익이 2012년 3조7천억원에서 지난해 7조2천억원으로 무려 93.6% 늘어나 영업이익률이 5.72%에서 10.8%로 두배 가까이 뛰었다.

LG그룹(11개사)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02조2천억원, 3조5천억원으로 전년보다 소폭 늘어나 영업이익률도 3.45%로 0.02%포인트 개선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