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기업 성장·수익성 모두 ‘후퇴’

작년 기업 성장·수익성 모두 ‘후퇴’

입력 2014-04-29 00:00
수정 2014-04-29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매출액 증가율 0.7%로 수직낙하… 글로벌 금융위기 후 최저

국내 기업의 성장세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급락했다. 번 돈으로 이자를 낼 능력은 다소 개선됐으나 여윳돈이 늘어서라기보다는 저금리에 기댄 측면이 크다. 구조조정 지연에 따른 부실기업 연명이 늘고 있어 금리 정상화의 필요성이 커 보인다.

한국은행이 28일 내놓은 ‘2013년 기업경영분석’ 자료에 따르면 성장성과 수익성 지표의 동반 하락이 두드러진다. 성장성 지표인 매출액 증가율은 2012년 4.9%에서 지난해 0.7%로 수직 낙하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0.1%) 이후 가장 낮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장은 “지난해 생산자 물가와 수출 물가 등이 떨어진 것이 큰 폭의 매출액 둔화를 가져왔다”고 설명했다. 분석 대상기업은 상장사 1541곳과 주요 비상장사 169곳 등 총 1710개사다.

수익성 지표인 매출액 영업이익률은 같은 기간 4.8%에서 4.6%로 낮아졌다. 전년에 이어 ‘역대 최저’ 기록을 또 한번 바꿔썼다. 매출액 영업이익률이 4.6%라는 것은 1000원어치를 팔아 46원 벌었다는 뜻이다. 그나마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를 뺄 경우 34원으로 더 쪼그라든다.

이렇게 번 돈으로 이자를 얼마나 낼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이자보상비율은 2012년 379.6%에서 지난해 399.1%로 올라갔다. 번 돈은 줄었는데도 이자 지급 능력은 왜 나아진 것일까. 답은 금융 비용에 있다. 매출액에서 대출이자 등 금융 비용이 차지하는 비율인 금융 비용 부담률이 같은 기간 1.3%에서 1.2%로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가 길어지면서 이자 부담 자체가 줄어든 것이다. 부채비율(97.9%→95.1%)과 차입금 의존도(25.5%→25.2%)가 낮아진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읽힌다. 당장 이자조차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현금흐름보상비율 100% 미만) 비중은 29.5%에서 30.6%로 늘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4-29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