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그룹 1분기 영업익 전년비 9%나 줄었다

삼성그룹 1분기 영업익 전년비 9%나 줄었다

입력 2014-05-01 00:00
수정 2014-05-01 02: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자’ 뺀 계열사 전년비 86.6%↓

올 1분기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이 다른 전 계열사 영업이익을 합친 것의 99.2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삼성전자를 뺀 나머지 계열사들의 영업이익 총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86.6% 곤두박질쳤다. 삼성전자의 영업이익 증가세가 주춤한 가운데 삼성중공업이 3625억원의 막대한 영업적자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30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삼성그룹 17개 상장계열사 가운데 이날까지 1분기 실적으로 공개한 15개 계열사의 영업이익 총액은 8조 5752억원이다. 전 분기(8조 5671억원)보다 0.1% 증가했고 전년 동기(9조 4249억원)에 비해서는 9.0% 감소했다. 세계경제 침체 속에서 ‘선방’한 것으로 보이지만 삼성전자 실적을 제외하면 사정은 다르다. 14개 계열사의 영업이익 총액은 지난해 1분기 6454억원에서 올 1분기에는 864억원으로 급감했다.

이 때문에 삼성전자가 그룹 영업이익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지난해 4분기 97.0%에서 올 1분기 99.0%로 2.0% 포인트 뛰었다.

삼성전자에 이어 삼성화재(1412억원), 삼성물산(1154억원), 삼성카드(904억원) 등이 준수한 성적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크레듀(385.2%)가 가장 높았고 호텔신라(194.8%), 삼성화재(93.3%), 삼성물산(70.9%) 등이 뒤를 이었다. 강정호 NH농협증권 연구원은 “크레듀의 경우 삼성그룹으로부터 교육 관련 아웃소싱이 크게 늘어 올해 분기별 계단식 실적 성장이 가능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삼성물산의 경우 호주 로이힐, 카타르 도하 메트로 등 건설부문 해외 수주 증가가 실적으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 영업이익이 크게 깎인 것은 삼성중공업(-3625억원), 삼성SDI(-389억원), 삼성정밀화학(-191억원) 등의 실적 부진 탓이다. 이들 3개 계열사는 이번 분기 적자 전환했거나 적자 폭이 더 커졌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해양부문 충당금(5800억원) 반영 등으로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분석된다.

문제는 그룹의 ‘돈줄’인 삼성전자 역시 휴대전화·반도체 시장에서 예전처럼 큰 성장세를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다. 올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3% 감소했다. 1분기 글로벌 휴대전화 판매량 증가율도 6% 정도로 애플(16.8%), 화웨이(22.4%) 등에 비해 낮았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입버릇처럼 “누구도 따라올 수 없는 핵심 사업, 신사업 개척”을 부르짖는 이유다. 삼성그룹은 2010년부터 바이오 제약·의료기기·태양전지·자동차용 2차전지·발광다이오드(LED)의 5대 신수종사업을 선정, 계열사 실적 개선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없어 고민이 커지는 상황이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5-01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