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대상자중 4만명은 10만원이하 받을 듯

기초연금 대상자중 4만명은 10만원이하 받을 듯

입력 2014-06-25 00:00
수정 2014-06-25 05: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복지부 “소득역전 막기위한 감액 때문…해당자 1% 예상”

기초연금이 다음 달 25일부터 지급되면, 소득 하위 70%에 속하는 65세이상 노인의 대부분은 10만~20만원의 연금을 타게 된다.

그러나 기초연금 대상자 중 약 1%, 4만명 정도의 기초연금액은 10만원에 채 미치지 못할 수도 있다. ‘소득 역전’ 현상을 막기 위한 감액 규정 때문이다.

◇ ‘월소득 88만원은 기초연금 0원, 86만원은 20만원’이면 소득 우열 뒤집어져

25일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기초노령연금과 마찬가지로 기초연금의 월 급여액에도 감액 원칙이 적용되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기초연금액이 10만원보다 적을 수 있다”며 “정확한 소득 조사가 끝나봐야겠지만, 기초노령연금 사례로 미뤄 1% 안팎의 대상자가 10만원 미만에 해당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복지부에 따르면 현행 기초노령연금 수급자 404만명 가운데 소득·재산이 상대적으로 많은 5만6천명(1.4%) 정도가 책정된 연금액(노인 단독가구 최고값 9만9천900원)보다 실제로는 깎인 연금을 받고 있다.

다음 달부터 도입되는 기초연금 지급 대상자 규모가 약 446만명으로 예상되는 만큼, 비율을 비슷하게 1%로만 잡아도 약 4만~5만명의 연금액은 기초연금 계산식상 최소값인 10만원보다 적을 수 있다는 얘기이다.

기초연금 계산식의 구조는 기본적으로 10만원을 정부가 최소 수준으로 보장하고, 나머지 10만원을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길수록 커지는 A값(소득 재분배 부분)에 비례해(×⅔) 깎아 더하는 것이다. 따라서 국민연금과 연계한 이 계산에서 기초연금액은 10만~20만원 범위에 있지만, 실제로는 감액 때문에 10만원도 못 받는 경우가 생긴다.

감액 규정은 ‘소득 역전’ 현상을 막기 위해 불가피하다는게 복지부측 설명이다. 1인 노인 가구를 기준으로 ‘월 소득 87만원 이하’가 기초연금 수령 기준이 될 전망인데, 소득 86만원인 사람은 10만~20만원의 기초연금을 다 받는 반면 불과 2만원 소득이 많은 경우(88만원) 한 푼도 받지 못해 오히려 기초연금까지 더하면 소득 우열이 뒤집어지는 모순이 생긴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득 구간별로 ▲ 월소득 79만원초과~81만원이하 8만원 ▲ 81만원초과~83만원이하 6만원(노인 단독가구) ▲ 83만원초과~85만원이하 4만원 ▲ 85만원초과~87만원이하 2만원 등으로 기초연금액 상한선이 마련된다. 최소 지급액은 노인 단독가구 2만원, 부부가구 4만원 수준이다.

◇ 기초노령연금 탈락자 중 2만명, 기초연금은 ‘기대’

기초연금 시행에 앞서 주목할 부분은 소득과 재산이 기준보다 많아 지금까지 기초노령연금을 받지 못했던 노인도 7월부터 기초연금으로 제도가 바뀌면서 ‘재도전’의 기회를 갖게 된 것이다.

’만65세 이상’ 연령 조건을 갖춰 과거 기초노령연금을 신청했다가 탈락한 사람들도 다음 달부터 기초연금을 새로 신청할 수 있다. 주소지 관할 읍·면 사무소나 동 주민센터, 전국 102개 국민연금공단지사 및 상담센터에 신청서를 내면 된다.

복지부는 기초노령연금 탈락자 가운데 2만명 정도가 기초연금 수급자로 ‘부활’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신청자가 기초연금 대상인 ‘소득 하위 70%’에 해당하는지 따지는 과정에서 근로소득에 대한 공제가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만65세 이상이지만 그동안 아예 기초연금을 한번도 신청한 적이 없거나 갓 만65세를 넘어선 노인들은 이달 말까지 우선 기초노령연금부터 신청하는게 좋다. 이 경우 7월에 기초노령연금과 기초연금 자격 심사를 동시에 받게 된다. 기존 기초노령연금 기준과 신설 기초연금 기준을 모두 충족하면, 7월 25일 기초연금 지급일에 6월분 기초노령연금과 7월분 기초연금을 함께 수령할 수 있다.

이미 기초노령연금을 받는 약 420만명의 노인은 개별적으로 기초연금을 신청할 필요가 없다. 그대로 모두 기초연금을 신청한 것으로 간주해 정부가 일괄적으로 자격 심사를 진행한다. 기초노령연금이나 기초연금 모두 ‘소득 하위 70%’가 기본 지급대상 기준이므로, 비싼 자녀집에 동거하는 일부 노인 등 1만~2만명을 빼고는 대부분 기초연금도 받게 될 전망이다.

오는 8월에 만65세가 되는 노인들은 7월부터 기초연금을 신청할 수 있다. 만65세 생일이 속한 달의 1개월 전부터 기초연금 신청 자격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다만 자격 조사·심사에 시간이 필요한 만큼, 7월 신규 신청자 중 자격을 갖춘 사람은 8월에 7·8월분 기초연금을 함께 타게 된다.

신청에 앞서 복지부 콜센터(☎129), 국민연금공단 콜센터(☎1355)를 통해 기초연금 수령 가능성 등을 문의해 볼 수도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지금까지 진행 상황으로 미뤄 7월25일 기초연금 지급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며 “최대한 준비 작업을 서두르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