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디자인 인재들이 삼성전자에 몰려드는 이유는?

해외 디자인 인재들이 삼성전자에 몰려드는 이유는?

입력 2014-07-05 00:00
수정 2014-07-05 10:5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전자 ‘디자인’ 파트의 위세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삼성전자의 ‘꽃’이자 갑(甲) 중의 갑이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삼성전자 디자인의 컨트롤 타워는 윤부근(61) 대표가 센터장을 겸하고 있는 디자인경영센터다. 전략·선행디자인 등 삼성전자 디자인을 총괄하는 곳이다. 또 사업부마다 별도의 팀이 있다.

디자인 파트의 힘은 지난해 하반기부터 한층 더 거세졌다. 디자이너가 제출한 아이템을 연구개발 파트에서 여러 이유를 들어 ‘퇴짜’ 놓을 경우 해당 개발 파트 담당자의 이름이 주홍글씨처럼 끝까지 남기 때문이다. 경쟁사가 비슷한 디자인의 제품을 내놓으면 ‘면피’하기란 쉽지 않아진 것이다. 일종의‘안 됩니다 실명제’가 도입된 셈이다. 이는 문서로 만들어 진 공식 ‘제도’는 아니지만 지난해 하반기 사장단으로부터 오더가 떨어진 이후 현재는 연구개발 파트 조직문화로 자리 잡았다. 개발 파트 한 직원은 “예전 같으면 디자이너들이 개발자에게 맞추는 경우가 많았지만, 지금은 거꾸로 됐다”며 “언제부터인지 딱 잘라 말할 순 없지만 수년 전부터 개발 파트와 디자인 파트 간의 갑을관계가 역전됐다”고 말했다. 곡면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기존 스마트 워치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갖춘 삼성 기어핏의 경우가 이런 분위기를 잘 반영한 제품이다. 연구개발 마인드만 가지고는 절대 나올 수 없는 디자인이기 때문이다.

디자인 파트의 위세는 파격적인 승진과 보상으로 이어지고 있다. 30대에 임원 자리를 꿰찬 강윤제 전무, 이민혁 상무가 대표적인 예다. 강 전무는 ‘보르도 TV’를 디자인해 삼성전자가 8년 연속(2006~2013년) TV분야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입사 14년 만인 2007년, 자랑스러운 삼성인상을 받았고 임원으로 발탁됐다. 당시 38세로 주위의 부러움을 샀다. 갤럭시S3를 디자인한 이 상무 역시 2010년 차장에서 상무로 승진했다. 이런 디자인 우대 정책은 해외 인재들이 삼성에 눈을 돌리게 하는 계기가 됐다.

최근 정보통신(IT) 분야 유명 디자이너인 하워드 너크와 나단 포크만이 삼성전자로 옮겨 미국법인 디자인연구소에서 일하고 있다. 하워드 너크는 헤드폰 ‘비트’를 디자인하며 유명해졌고, 나단 포크만은 페이스북 등에서 디자인 업무를 하던 인물이다. 지난해 말에는 삼성전자의 경쟁사인 애플의 수석 디자이너 팀 거젤이 삼성전자에 둥지를 틀었다. 업계 한 관계자는 “디자이너 입장에서 보면 자신의 디자인을 제품화시켜 줄 최적의 기업이 바로 삼성전자”라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4-07-05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