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소비 줄자 논 사라져…벼 재배면적 사상 최저

쌀 소비 줄자 논 사라져…벼 재배면적 사상 최저

입력 2014-08-28 00:00
수정 2014-08-28 1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쌀 소비량이 줄어들면서 벼 재배면적이 사상 최저 수준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벼·고추 재배면적 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벼 재배면적은 81만5천506ha로 지난해의 83만2천625ha보다 1만7천119ha(2.1%) 감소했다.

이는 통계청이 현재 통계 기준을 도입한 1975년 121만8천12ha 이후 최저치로 당시보다 ⅓ 줄어든 수준이다.

벼 재배면적은 2005년 97만9천717ha를 처음으로 100만ha를 하회한 이후 지속적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전반적인 쌀 소비량이 줄어든 데다 단위면적당 소득이 높은 약용·특용작물로 전환하는 비율이 높아지면서 벼 재배면적도 줄어드는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 있다.

품목별로 보면 논벼 재배면적은 81만4천334ha로 지난 1년간 2.0%, 밭벼는 1천172ha로 7.7% 감소했다.

시도별로 보면 전남(16만9천585ha)이 벼 재배면적이 가장 넓고 충남(14만8천684ha), 전북(12만4천089ha), 경북(10만6천832ha) 등 순이다. 이들 4개 시도의 재배면적은 전국의 67.3%를 차지한다.

고추 재배면적은 3만6천120ha로 지난해의 4만5천360ha보다 20.4% 감소했다.

앞선 2년 연속 생산량 증가에 따라 고추 가격이 하락하면서 재배 면적이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통계청은 보고 있다.

지난해 고추가격(도매평균)은 600g당 6천743원으로 2012년의 9천695원보다 30% 하락한 바 있다.

시도별 고추 재배면적은 경북(8천587ha)이 가장 많고 전남(6천792ha), 전북(4천584ha), 충남(3천792ha)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별 주요 주산지는 경북 안동시(1천371ha), 영양군(1천297ha), 봉화군(957ha), 전북 고창군(884ha), 전남 해남군(768ha) 등 순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