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예·적금 금리 일제히 내려…1년 맡겨도 1%대

은행들 예·적금 금리 일제히 내려…1년 맡겨도 1%대

입력 2014-09-10 00:00
수정 2014-09-10 11:2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한 5일, 우리·기업 1일, 국민·하나 8월 말 0.1~0.3%p↓

은행들이 9월 들어 예·적금 금리를 일제히 내렸다.

추석 때 받은 명절 용돈을 은행 예금에 1년간 맡겨도 1%대의 ‘쥐꼬리 이자’가 붙게 됐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 5일 정기예금 금리를 0.05~0.15%포인트, 정기적금 금리를 0.20~0.25%포인트 깎았다.

주력 상품의 1년 만기 기준으로 ‘S드림 정기예금’은 2.25%에서 2.10%로 0.15%포인트, ‘Green+ 적금’은 2.70%에서 2.45%로 0.25%포인트 금리가 낮아졌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을 반영한 것”이라며 “정기적금 금리는 올해 들어 처음 내렸다”고 설명했다.

기업은행은 지난 1일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의 금리를 0.20~0.30%포인트 내렸다. 일부 상품은 금리 인하폭이 한은의 금리 인하폭(0.25%포인트)을 웃돌았다.

기업은행 실세정기예금은 1년 만기 기준 금리가 2.20%(이자 월지급식)와 2.30%(이자 연지급식 및 만기지급식)에서 각각 1.90%와 2.00%로 0.30%포인트씩 낮아졌다.

이 은행 ‘신(新) 서민섬김통장 가계우대 정기적금’과 ‘IBK 알뜰살뜰 자유적금’ 금리도 1년 만기 기준으로 2.60%에서 2.35%로 0.25%포인트 깎였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다른 은행은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7~8월 금리를 미리 조금씩 내렸지만, 기업은행은 이를 뒤늦게 반영해 인하폭이 커 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은행도 같은 날 정기예금 금리를 0.10%포인트, 정기적금 금리를 0.20%포인트 인하했다.

1년 만기 기준으로 회전식인 ‘두루두루 정기예금’이 1.95%에서 1.85%로, 일반 정기예금이 2.00%에서 1.90%로, ‘키위 정기예금’이 2.30%에서 2.20%로 각각 낮아졌다.

적금의 경우 자유적금이 1.95%에서 1.75%로, ‘우리 e-자유적금’이 2.15%에서 1.95%로, ‘iTouch 그린적금(자유적립식)’이 2.20%에서 2.00%로 인하됐다.

국민은행은 이보다 조금 앞선 지난달 29일 정기예금 금리를 0.10~0.20%포인트 내렸다.

1년 만기 기준으로 ‘KB 골든라이프 예금’은 거치식이 2.20%에서 2.10%로, 원리금 지급방식이 1.90%에서 1.80%로 0.10%포인트씩 내렸다.

’KB 펀드와 만나는 예금’은 2.25~2.45%에서 2.10~2.30%로 0.15%포인트, ‘국민 UP 정기예금’은 2.27%에서 2.07%로 0.20%포인트 각각 인하했다.

비슷한 시기에 하나은행은 ‘고단위 플러스 정기예금(이자지급식)’ 금리를 2.00%에서 1.90%로, ‘주거래 정기예금’ 금리를 2.11%에서 2.01%로 깎았다.

하나은행 관계자는 “당분간 금리를 더 내릴 계획은 없지만, 시장 추이를 지켜보면서 (금리 인하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은행들은 앞서 지난달 14일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때를 전후해 예·적금 금리를 내리고 우대금리나 수수료 면제 혜택을 축소했다.

은행들의 잇따른 인하로 예·적금 금리가 낮게는 1% 중반대로 주저앉자 이자소득세(15.4%)를 빼면 큰 금액을 맡겨도 고객 입장에선 손에 쥐는 이자가 거의 없다.

가령 기업은행 실세정기예금의 이자 월지급식에 1억원을 맡기면 세금을 제외하고 매월 15만5천100원씩 받던 게 이달부터 13만3천950원으로 2만원 넘게 줄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저금리 장기화로 은행들의 수익성이 나빠져 자금조달 비용(예·적금 금리)을 아낄 수밖에 없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