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대용식 ‘라면’이 아직도 이 정도 수준이라니...

국민 대용식 ‘라면’이 아직도 이 정도 수준이라니...

입력 2014-10-15 00:00
수정 2014-10-15 10: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라면 한 봉지의 포화지방량은 하루 섭취 기준치의 절반, 나트륨은 80% 이상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소비자원은 시판 중인 라면 12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라면 1봉지의 포화지방 함량은 1일 영양소 기준치의 51.3%, 나트륨은 86.5%였다고 15일 밝혔다.

조사대상은 팔도 ‘꼬꼬면’과 ‘틈새라면 빨계떡’, 삼양식품의 ‘나가사끼짬뽕’과 ‘삼양라면’, 농심의 ‘너구리우동 얼큰한맛’·’무파마탕면’·’신라면’·’안성탕면’·’오징어짬뽕’, 오뚜기의 ‘진라면 매운맛’과 ‘참깨라면’이다.

하루 섭취 포화지방량은 15g인데, 이들 라면에는 6.3∼9.1g의 포화지방이 함유돼 있다.

나트륨 함량도 1천350∼2천69㎎으로 기준치(2천㎎)를 넘어서는 경우도 있다.

반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등 필수 영양소는 한 끼 영양소 기준치의 각각 56.3%, 71.6%, 97.6%여서 식사 대용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칼슘 함유량은 하루 영양소 기준치(700㎎)의 4.2∼31.6% 정도였다.

안전성 조사에서는 발암물질인 벤조피렌이 모든 조사대상 제품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다만, 참깨라면의 건더기스프 중 ‘고소한 참깨 계란 블럭’의 내용량(6.6g)이 표시량(5g)을 초과해 표시기준에는 부적합했다.

한편, 소비자 1천 명을 대상으로 라면 섭취 빈도를 조사한 결과 일주일에 1∼2회(59.9%)라고 답한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라면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국물 맛(61.4%)이었고, 선호하는 맛은 매운 맛(56.7%)이었다.

조사 결과는 공정거래위원회 스마트컨슈머 사이트(www.smartconsumer.go.kr)에 게재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소비자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포화지방 함량이 적고 불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대체유의 사용과 지속적인 나트륨 저감화를 추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소비자도 포화지방과 나트륨 섭취를 줄이기 위해 라면 섭취 시 국물을 적게 먹거나 스프를 적게 넣어 조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