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중금속 납, 만성신장질환도 유발

유해 중금속 납, 만성신장질환도 유발

입력 2014-11-10 00:00
수정 2014-11-10 07: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울대 정진호 교수팀 연구성과

유해 중금속인 납이 만성신장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서울대 약대 정진호 교수 연구팀이 납과 신장질환 간 상관관계를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가장 유해한 중금속 가운데 하나인 납은 대기·토양·생활환경 등 다양한 경로로 인체에 해를 끼치는데 특히 어린이도 장난감·학용품·화장품 등을 통해 쉽게 노출된다. 신경·순환계 이상과 성장 지연 등 많은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과거 로마제국 멸망의 원인이라는 주장도 있다.

국제 가이드라인은 혈액 내 납 농도 안전 기준(정상 성인)을 10㎍/㎗ 이하로 제시하고 있다. 최근에는 5㎍/㎗ 이하에서도 만성신장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역학조사 결과가 여러 차례 보고됐지만 정확한 원인과 기제는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혈액 내 납 99% 이상이 적혈구에 축적되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 납이 적혈구와 신장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쳐 신장독성을 유발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혈중 납 농도가 높아지면 신장 내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적혈구 헤모글로빈 내의 철(Fe)이 신장에 축적되는데 이 철 성분이 신장세포에 이상을 일으켜 신장을 손상한다는 것이다.

이번 연구성과는 적혈구와 신장 간의 상호작용을 줄이는 방식의 신장질환 예방·치료법 연구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만성신장질환 환자는 전체 인구의 15%에 달한다.

정진호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토대로 납 노출과 신장질환의 상관성 검토, 납의 적절한 관리방안 제시 등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미래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 아래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산하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가 발행하는 환경 분야 국제학술지 ‘엔바이런멘털 헬스 퍼스펙티브’(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온라인판 10월 10일자에 실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이번 '카카오톡 업데이트' 여러분은 만족한가요?
15년 만에 단행된 카카오톡 대규모 개편 이후 사용자들의 불만이 폭증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을 내려받을 수 있는 구글 플레이스토어와 애플 앱스토어에는 “역대 최악의 업데이트”라는 혹평과 함께 별점 1점 리뷰가 줄줄이 올라왔고, 일부 이용자들은 업데이트를 강제로 되돌려야 한다며 항의하기도 했다. 여론이 악화되자 카카오는 개선안 카드를 꺼냈다. 이번 개편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1. 개편 전 버전이 더 낫다.
2. 개편된 버전이 좋다.
3. 적응되면 괜찮을 것 같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