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급격한 체중증가가 심혈관에 더 위험”

“20~30대 급격한 체중증가가 심혈관에 더 위험”

입력 2014-11-10 00:00
수정 2014-11-10 11: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분당서울대병원, 당뇨병환자 1천700여명 분석결과

20~30대 젊은 시절에 체중이 급격히 불어난 사람일수록 나이가 들면서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더 커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팀은 영국 글래스고우 심혈관센터 사타(Sattar)교수팀과 함께 2007~2009년 사이 병원을 찾은 1천724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일생 동안의 체중변화가 심혈관질환 발생의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0일 밝혔다.

연구팀은 연구 참여자의 20대 때 체중, 일생 최대 체중 및 당시 나이, 당뇨병 진단 당시 체중과 나이 등을 조사했다. 또 이들을 대상으로 심장 단층촬영(CT)을 거쳐 관상동맥질환 협착, 동맥경화, 다중혈관침범, 관상동맥 석회화 등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평가했다.

연구 참여자의 평균 나이는 50세(±10세)였으며, 조사 시점의 평균 체질량지수(BMI)는 비만으로 분류되는 25.4 ㎏/㎡로 측정됐다. 20세 때 평균 체중은 60.1㎏으로, 평균 41.3세 때 최대체중에 도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결과 20세 때 체중이 많이 증가할수록, 그리고 그 증가속도가 빠를수록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이 높아졌다.

20세 때 체중 증가속도에 따라 4개 그룹으로 나눠보면 1년에 1.3㎏씩 증가해 증가속도가 가장 빠른 그룹에서는 50% 이상 관상 동맥이 좁아진 유병률이 14.4%로 증가속도가 가장 느린 그룹(1년에 0.15kg씩 증가)의 9.5%보다 높았다. 또 같은 조건에서 두 개 이상의 심장혈관을 침범한 경우도 10.2%와 4.7%로 큰 차이를 보였다.

심혈관질환 발생과 직결되는 동맥경화반은 체중 증가속도가 빠른 사람의 24.3%에서 동맥경화성 플라크(찌꺼기)가 존재한 반면, 체중증가속도가 늦은 사람의 경우는 14.9%로 10% 포인트의 큰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20~30대에 80㎏이 돼서 60세까지 쭉 유지된 사람과 서서히 몸무게가 늘어서 60세에 80㎏이 된 사람의 심혈관질환 위험도에 많은 차이가 있다는 분석”이라고 설명했다.

다시 말해 20~30대에 체중이 급격히 증가하면 체내 인슐린저항성이 유발되고 염증반응이 증가하면서 혈당 및 혈압이 상승함으로써 결국 혈관내피세포에 생긴 손상이 관상동맥질환으로 악화한다는 의미다.

임수 교수는 “특정 시기의 체중증가속도가 관상동맥질환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세계최초로 입증한 결과”라며 “청소년시기부터 고지방, 고칼로리로 대표되는 서구화 식습관을 줄이고, 신체 활동량을 증가시켜 20~30대에 체중이 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당뇨병 분야 권위지인 ‘임상당뇨병지(Diabetes Care)’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