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2021년까지 상용화 목표
방사선 누출 등 원자력 발전소의 각종 사고에 투입되는 로봇 개발이 본격 추진된다. 노후화된 원전에 대한 고장 수리는 물론 최근 질소 누출로 인해 인명피해가 발생한 사고 등 사람이 직접 수습하기 어려운 원전 내부에 발생할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서다.25일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불시의 원전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로봇 개발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13대 산업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원전 시설을 수리하고 안전문제 발생 시 인명을 구조하거나 내부 상황을 점검할 수 있는 안전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예비타당성 조사에 들어간 상태”라고 밝혔다. 산업부와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지난 21일 원전 로봇 시스템 조기 구축을 위한 비공개 기획회의를 열고 해외사례를 포함해 원전에 활용 가능한 로봇 기술 개발에 대해 전방위적인 논의를 진행했다.
산업부와 원자력연구원 등은 2011년부터 올해 말까지 고방사선구역의 작업환경을 모니터링할 실내 장애물 극복형 이동로봇과 내방사선 제어기 등의 핵심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원격 조종이 가능한 내부 통신 인프라 구축, 장애물을 피하는 비행 능력 및 수리력 등이 과제로 꼽힌다. 원자력 비상상황에 원격 대응할 핵심기술을 2012년부터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는 원전 비상사고 발생 시 모바일로 원전을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부는 2021년까지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원자력연구원 관계자는 “원전사고나 고장 시 내부 온도 및 압력 파악, 냉각기 작동 여부 등 사람이 들어가 파악하기 위험하다고 판단될 경우 내부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조정할 수 있는 로봇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어 기술개발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프랑스, 미국, 일본 등은 일찌감치 원전 로봇 개발에 뛰어든 상태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1-26 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