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장례식장 식사

[길섶에서] 장례식장 식사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5-08-11 23:50
수정 2025-08-12 00: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얼마 전 지인의 부친상에 조문을 같이 간 일행이 장례식장을 나오며 “밥 한 공기 더 먹고 싶었는데 차마 달라는 얘기를 못 했다”면서 살짝 아쉬워했다. 저녁 식사 시간이 지난 때라 배가 꽤 고팠던 모양이다. “그건 좀 예의가 아니지”라며 농담조로 타박했지만 나도 육개장 한 그릇을 맛있게 비운 참이었다.

장례식장에서 밥을 먹게 되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다. 어렸을 때는 음료만 겨우 마셨다. 나이 들면서 과일이나 마른안주 정도는 먹을 수 있게 됐지만 숟가락으로 밥과 국을 떠먹는 건 영 내키지 않았다. 고인과 유족들에게 왠지 불경스러운 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그러다 내가 상주가 되어 문상객을 맞이하는 경험을 하고 나서야 깨달았다. 따뜻하게 손을 잡아 주고, 등을 두드려 주는 것만큼 손님들이 음식을 맛있게 먹는 모습이 큰 위로가 된다는 사실을. 경황없는 와중에도 상주들이 조문객에게 대접할 음식에 얼마나 정성을 쏟는지를 알게 된 뒤로는 상에 차려진 접시들을 깨끗이 비우려고 애쓴다. 무언의 위로가 되기를 바라며.

그래도 ‘밥 한 공기 더’는 과하지 않나 싶기도 하고.

이순녀 수석논설위원
2025-08-12 3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