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국 KDB대우證 사장 인터뷰
“금융은 기본적으로 미래에 대한 것이다. 미래에 영향을 미칠 원인들의 상호작용을 파악해 고객의 미래 준비에 동반자가 되는 것이 목표다.”
홍성국 KDB대우증권 사장
이를 위해 우선 직원들의 치열한 공부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는 “과거 대우증권이 주식 매매의 강자여서 직원들이 다른 증권사보다 주식에 대해 많이 안다”며 “리서치센터와 영업현장 간의 활발한 교류, 매일 30분가량의 전 직원에 대한 금융상품 교육 등이 더해지면 자산관리의 절대강자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객과 만나는 신입 PB들은 과거 6주에서 4배가량 늘어난 6개월의 교육을 받아야만 지점에 배치된다.
홍 사장은 “세계가 일본화되고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이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가 꼽은 일본화의 8가지 원인은 ▲환경 오염 ▲사회 양극화 ▲인구 감소 ▲인간성의 변화와 과거형 리더십 등이다. 홍 사장은 “여러 요소들이 서로 연결돼 있다는 통섭이 사고할 때 가장 영향을 미친다”며 “현재의 금융지표나 뉴스도 큰 흐름에서 보는 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고객에 대한 서비스도 수익이나 회사 규모 측면에서가 아니라 고객의 진정한 신뢰를 얻겠다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저절로 이뤄진다는 생각이다.
홍 사장은 우리 금융시장의 현재를 다소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짧은 자본주의 역사에도 금융투자에 대한 지식은 압축 성장했다. 하지만 아는 만큼 실행해 투자에 성공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지식과 실행의 간극이 큰 경우도 있다. 금융 상품은 많이 진화했다.
홍 사장은 그 선두에 대우증권이 있다고 자부한다. 대우증권은 9개국 13개 해외 현지법인 등에 400여명이 근무하는 등 증권사 중 해외 네트워크가 가장 탄탄하다. 이를 통해 지난해 몽골수출입은행의 양도성예금증서(CD) 펀드, 중국의 민간 은행인 중국은행 전환사채(CB) 신탁 등을 개인 고객에게 내놨다. 기업고객 상품으로 핀에어 항공기 투자, SK해운 프로젝트 사모펀드(PEF) 등도 출시했다.
1986년 대우증권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한 홍 사장은 지난해 첫 공채 출신 사장이 됐다. 대우증권의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은 올해 대우증권을 팔겠다는 뜻을 밝힌 상태다.
홍 사장은 “다른 회사와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 ‘금융의 삼성전자’가 되는 것이 매각 가치를 높이고 지속 성장의 기반을 확보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2-23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