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 어려울 땐 직원 교육비부터 ‘싹둑’…13% 줄였다

기업들 어려울 땐 직원 교육비부터 ‘싹둑’…13% 줄였다

입력 2015-02-26 07:45
수정 2015-02-26 07: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CXO연구소, 1천500대 상장사 판관비 항목 감사보고서로 분석 교육비 총액 1위 기업은 두산중공업…”독특한 사내교육 강점”

경기가 좀처럼 살아나지 않는 가운데 힘들어진 기업들이 직원 교육비를 줄여 허리띠를 졸라맨 것으로 나타났다.

침체기에 판매관리비(판관비)를 줄이는 건 당연하지만, 판관비 항목에 포함되는 직원 교육비 감소 폭이 두드러진 건 ‘사람에 대한 투자’를 소홀히 한다는 면에서 아쉬움을 남긴다.

기업분석 전문업체 한국CXO연구소(소장 오일선)는 국내 1천500대 기업의 직원 교육훈련비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26일 밝혔다.

조사 대상 기업은 매출액 기준 1천500대 상장사이며, 판관비에 명시된 교육비는 각 기업 감사보고서를 통해 파악됐다.

조사결과 교육훈련비를 감사보고서에 명시한 1천31개 기업(68.7%)의 2013년 교육비 총액은 5천168억6천여만원이다. 직원 1인당 교육비 평균은 60만3천원이다.

이는 2012년 교육비 총액 5천943억4천여만원보다 약 13% 감소한 수치이다.

한 회사당 평균 교육비는 2012년 5억7천640만원에서 2013년 5억130만원으로 7천510만원 감소했다.

매출 규모별로 따지면 5천억∼1조원 기업군의 직원 1인당 교육비가 84만9천원으로 가장 많았다. 매출 1조원 이상 대기업은 평균 80만3천원으로 이보다 작았다.

매출 3천억∼5천억원 기업군은 29만1천원, 1천억∼3천억원 기업군은 27만7천원으로 교육비 수준이 급격하게 내려갔다.

중소기업의 직원 1인당 교육비는 대기업의 29%에 그쳤다.

조사 대상 기업 중 가장 많은 교육비를 투자한 기업은 두산그룹 계열 두산중공업으로 2013년 182억7천여만원을 지출한 것으로 집계됐다.

2위는 삼성화재로 150억7천여만원, 3∼5위는 기아자동차(143억9천여만원), 한미약품(129억5천여만원), CJ제일제당(124억여원) 순이다.

이어 두산(117억9천여만원), LG화학(115억5천여만원), 롯데쇼핑(114억8천여만원), 삼성엔지니어링(108억9천여만원), SK네트웍스(106억여원), LG디스플레이(105억1천여만원)도 연간 교육비를 100억원 넘게 썼다.

’사람이 미래다’라는 광고 카피로 잘 알려진 두산중공업은 독특한 세 가지 사내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과장, 차장·부장, 팀장으로 나눈 직급별 맞춤형 경영학 과정인 사내 MBA, 이공계 출신을 위한 이코노믹스 포 엔지니어(economics for engineer)와 인문사회계 출신을 위한 엔지니어링 포 커머셜(engineering for commercial), 생산직 직원 교육과정인 창원대 두산중공업학과 등이다.

직원 500명 이상 기업 중 1인당 교육훈련비가 가장 많은 곳은 한미약품으로 725만원이나 됐다. 직원 1인당 교육비가 많은 10개 기업 중에는 한미약품 외에도 유나이티드, 대웅제약, 보령제약, 삼진제약 등 제약회사가 5곳이나 포함됐다.

오일선 CXO연구소장은 “다수 제약사의 직원당 교육비가 높게 나온 것은 그만큼 과감한 투자를 한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해볼 만한 대목”이라며 “그러나 이런 교육비 지출이 다른 기업과 비교할 때 정상적인 패턴인지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2013년 기준으로 영업이익과 비교할 때 교육비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화장품기업 코리아나로 영업이익이 2억3천여만원에 불과한 데 교육비는 8억여원으로 교육비가 영업이익보다 3.5배 많았다.

업종별로도 제약업이 직원 1인당 140만원대로 건설업(23만원대)의 6배가 넘었다. 화학(74만원대), 식품(49만원대), 금속(35만원대), 전자(24만원대)가 그 사이다.

오 소장은 “삼성전자, 현대차, LG전자 같은 대기업은 과거 감사보고서에 교육훈련비를 따로 명시했으나 최근 미공개로 한 발 후퇴한 반면, 휴맥스 등은 판관비에 속하는 교육비는 물론 매출원가에 들어가는 교육비까지 자세히 공개한다”면서 “대기업이 주주와 투자자에게 높은 신뢰를 얻으려면 판관비 항목을 좀 더 투명하게 공개하는 것도 고려해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