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딩 뱅크’(선도 은행) 자리를 놓고 뜨거운 경쟁을 벌이는 신한금융의 한동우 회장과 KB금융의 윤종규 회장이 공식 석상에서 마주쳤습니다. 상대방의 1분기 성적표가 내심 궁금했나 봅니다. 한 회장이 먼저 운을 뗐습니다. “1분기 실적이 (생각보다) 괜찮다”고 말이지요. 이에 윤 회장이 “6(6000억원)은 넘으세요”라고 물었습니다. “6은 안 된다”는 한 회장의 답변에 윤 회장은 “우리는 일회성이 있어서 겉보기에는 좋지만 사실 그럭저럭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한 회장은 “맨날 죽는 소리야”라고 농반진반 핀잔을 줬습니다. 두 수장의 대화 속에 ‘리딩 뱅크’를 향한 선의의 경쟁심이 묻어납니다.
뚜껑을 열어 본 결과 KB금융의 1분기 당기순이익은 6050억원으로 신한금융(5921억원)을 간발의 차이로 제쳤습니다. 금융권에선 “KB금융이 6년 만에 리딩뱅크 탈환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지난해 11월 취임 이후 합격 성적표를 받아 든 윤 회장이지만 “아직은 웃을 수 없다”고 말합니다. 국민은행은 과거 국민카드 분사 때 과·오납 법인세 4000억원에 대한 환급 판결로 올 1월 1803억원의 법인세를 돌려받았습니다. 이 일회성 수익을 제외하면 실제 순익은 4247억원인 셈이죠. 윤 회장의 푸념이 단순한 ‘겸손’만은 아니었던 거지요. 본게임은 2분기부터라는 게 윤 회장의 생각입니다.
그런데 여건이 녹록지만은 않습니다. 올 3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0.25% 포인트) 효과와 안심전환대출 여파는 2분기 실적에서부터 본격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국민은행은 대규모 희망퇴직도 앞두고 있습니다. 비용(퇴직금) 지출이 따를 수밖에 없습니다. 윤 회장은 임직원들에게 “2분기 이후 실적이 줄어들면 오히려 더 타격”이라며 “긴장하라”고 당부하고 있습니다. 1분기 실적을 확인한 경쟁사들은 다시 신발 끈을 동여매고 있습니다. 수장들의 자존심이 걸린 리딩 뱅크 탈환전의 최종 결과가 사뭇 기다려지지만 윤 회장의 말대로 진검 승부는 이제부터 시작입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5-0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