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요금 시대에도 이통시장 5:3:2 구도 계속되나

데이터요금 시대에도 이통시장 5:3:2 구도 계속되나

입력 2015-05-25 10:05
수정 2015-05-25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가입자 빼앗기던 SKT 반격, 경쟁사보다 데이터요금제 반사이익 더 누려

이동전화 요금제 트렌드가 음성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바뀌었지만 이동통신 3사간 고착화된 경쟁 구도는 크게 변화하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시내 한 휴대전화 대리점 앞.  연합뉴스
서울시내 한 휴대전화 대리점 앞.
연합뉴스


25일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 중심 요금제 출시 초반 SK텔레콤에는 25만명, KT에는 15만명, LG유플러스에는 10만명 정도의 새 요금제 가입자가 몰렸다. 5대 3대 2의 기존 경쟁 구도와 일치한다.

당초 시장에서는 데이터 요금제 출시로 이동통신 3사간 가입자 쟁탈전이 벌어지면서 10여년째 변하지 않은 5대 3대 2의 경쟁 구도에 지각 변동이 일어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됐다.

특히 KT가 이달 초 음성 통화와 문자 메시지를 무제한 제공하는 데이터 요금제를 업계 최초로 출시하며 시장 점유율 49%를 차지하는 SK텔레콤을 향해 포문을 열면서 이런 전망에 무게가 실렸다.

하지만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이 곧 KT와 비슷한 요금제를 출시해 이 같은 전망은 금세 무색해졌다. 각자 요금제의 차별점을 강조하지만 전체적으로 유사하다는 것이 업계 평가다.

최근 시장 점유율 50%선을 내주고 가입자를 빼앗기던 SK텔레콤이 데이터 요금제 출시를 계기로 반격에 성공하면서 오히려 5대 3대 2의 경쟁 구도가 더욱 굳어지는 분위기다.

SK텔레콤은 KT보다 12일, LG유플러스보다 5일 늦은 이달 20일 데이터 요금제를 출시하고도 경쟁사와 비슷하거나 많은 가입자를 유인해 시장 지배적 사업자의 위력을 드러냈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 요금제 가입자 증가 속도가 느려지면서 시장에 미치는 영향도 갈수록 줄어들 것”이라며 “기존 이통업계 경쟁 구도도 유지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에서 의정 활동 중인 김혜지 의원(국민의힘, 강동1)은 18일 학교 정문 옆 수목 정비와 울타리 교체 공사를 마친 묘곡초등학교를 방문해 교장 선생님과 함께 안전하게 개선된 학교 환경을 확인했다. 1985년 개교한 고덕1동 묘곡초등학교(교장 김봉우)는 “즐거운 배움으로 함께 성장하는 묘곡”이라는 비전을 가지고 1300여 명의 초등학교 학생들이 생활하고 있는 교육의 터전이다. 개교 후 40년이 경과해 많은 시설물이 노후됐고 주기적인 보수가 필요하지만 예산 부족으로 적기 보수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특히 정문 옆 큰 수목들이 시야를 가려 아이들이 위험했고 학교 울타리는 철물이 날카롭게 돌출돼 학생들이 다칠 위험이 있었다.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3기 예산결산특별위원으로 활동하면서 학교 측의 긴급한 요청을 받고 필요한 예산이 편성되도록 서울시교육청과 협의해 1억 5000만원의 예산을 편성하게 됐다. 이번 공사로 학교의 정문 및 후문의 수목 정비와 아스콘 재포장, 미끄럼 방지 포장을 했고 노후 울타리는 디자인형 울타리 24m와 창살형 울타리 315m로 교체 설치했다. 또한 조경 식재 144주와 고덕아이파크와 접한 부지 수목 정리도 같이
thumbnail - 김혜지 서울시의원, 묘곡초 정문 환경개선 및 노후 울타리 교체 완료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