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직 임금 4.3% 오를 때 비정규직 0.5% 질끔 인상

정규직 임금 4.3% 오를 때 비정규직 0.5% 질끔 인상

입력 2015-05-28 13:34
수정 2015-05-28 15: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금격차 더 벌어져…통계청 “10만여명 정규직 전환 영향”

비정규직과 정규직 사이의 임금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정규직은 고용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인 사회보험 가입률도 떨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28일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1∼3월 임금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작년보다 3.6% 늘어난 231만4천원이다.

이 가운데 정규직 임금은 271만3천원으로 4.3% 늘었지만, 비정규직은 146만7천원으로 0.5% 증가에 그쳤다.

이로 인해 올 3월 기준으로 통계청이 분석한 비정규직과 정규직 간 월평균 임금격차는 1년 전보다 0.8%포인트 확대된 12.0%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근로형태에 따른 임금차이만을 나타내기 위해 성별,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등 임금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소를 배제한 뒤 산출한 것이다.

사회보험 가입률에서도 비정규직 처우가 열악해졌다.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가입률이 작년 동월 대비 각각 1.8%포인트, 1.0%포인트씩 내렸다. 고용보험 가입률은 1년 전과 같았다.

시간제 근로자는 국민연금(1.8%p), 건강보험(1.4%p), 고용보험(4.0%p) 가입률이 모두 상승했지만 한시적 근로자와 비전형(파견, 용역, 일일근로 등) 근로자는 하락추세였다.

이에 대해 심원보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작년 비정규직 중 비기간제 근로자가 10만 명 넘게 정규직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이라며 “이를 감안하면 비정규직 평균임금과 사회보험 가입률은 상당히 상승한 것으로 계산된다”고 설명했다.

올 3월 기준 비정규직 근로자는 601만2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0만1천 명(1.7%) 늘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는 지난번 2014년 8월 기준 조사 때(607만7천 명) 600만 명을 처음 돌파한 바 있다.

다만 전체 임금근로자 중 비정규직 비중은 32.0%로 0.1%포인트 낮아졌다. 비정규직 비중은 2007년 36.7%를 기록한 이래로 계속 하락세다.

비정규직 유형 중 1주일에 36시간 미만 일하는 ‘시간제 근로자’가 209만1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5천 명(9.1%) 늘어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였다.

심 과장은 “정부의 시간선택제 정책이 일부 영향이 있는 듯하다”며 “경력단절 여성들과 60세 이상 고령층이 부업 형태로 시간제 일자리를 선택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해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시간선택제 근로자는 시간제 근로자와 일부 중복될 수는 있지만 똑같은 개념은 아니고, 관련 통계는 아직 없다’며 “고용노동부가 올 9월쯤 시간선택제 근로자에 대한 정의를 발표할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다른 유형 중에는 근로계약기간을 기준으로 한 기간제·비기간제 근로자 등 ‘한시적 근로자’가 341만7천 명으로 1년 전보다 1만6천 명(0.5%) 늘었다.

파견·용역·일일 근로자 등 비전형 근로자는 214만8천 명으로 3천 명(-0.1%) 줄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를 성별로 보면 여자(54.2%)의 비중이 남자(45.8%)보다 높았다.

남자는 275만3천 명으로 1년 전보다 0.7% 늘었고, 여자는 325만9천 명으로 2.6% 증가했다.

연령계층별로는 60세 이상(6.1%), 20대(3.5%), 50대(2.1%)에서 증가한 반면 40대(-3.3%)는 감소했다.

산업별 비정규직 증가 현황을 보면 도소매·음식숙박업(119만5천 명) 분야에서 작년 같은 달보다 6.7% 늘었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294만7천 명)은 1.9% 늘었다. 건설업(68만 명)도 3.0% 늘었지만 광·제조업(51만5천 명)은 5.2% 줄었다.

교육정도별로는 고졸(2.5%), 대졸 이상(1.2%), 중졸 이하(0.9%) 순으로 늘었다.

1년 전과 비교해 비정규직의 퇴직급여는 0.9%포인트, 상여금은 0.3%포인트 각각 상승했다. 반면에 시간외수당(-0.4%p)과 유급휴일(-0.1%p)은 줄었다.

임금근로자의 평균 근속기간은 5년8개월이었다. 정규직은 7년3개월로 비정규직 2년5개월의 3배에 달했다.

임금근로자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3.6시간으로 1년 전과 같았다. 정규직이 46.4시간이었고, 비정규직은 37.4시간이었다.

일자리 선택 동기를 보면 정규직은 76.3%가 자발적 사유를 꼽았다. 근로조건에 만족해서라는 응답이 48.4%, 안정적인 일자리라는 응답은 45.5%였다.

비정규직은 비자발적 사유가 51.0%나 됐고, 이 가운데 당장 수입이 필요했다는 응답이 73.3%에 달했다.

임금 근로자의 노동조합 가입률은 12.5%였다. 정규직 근로자의 가입률은 17.1%로 비정규직 근로자 2.9%의 약 6배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