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탁소서 망가진 옷, 제조업체 탓일 때 많아

세탁소서 망가진 옷, 제조업체 탓일 때 많아

입력 2015-05-28 13:35
수정 2015-05-28 1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소비자원 “원단 내구성 등 품질하자 많아”

세탁소에 맡겼다가 망가진 옷은 세탁소 주인보다는 제조·판매사를 탓해야 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소비자원은 세탁서비스 관련 소비자 피해 사례 가운데 2014년 1월∼2015년 3월 섬유제품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친 2천455건을 분석했더니 봉제 상태나 원단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어 세탁물이 훼손된 경우(제조·판매업체의 책임)가 33.4%(819건)로 가장 많았다고 28일 밝혔다.

섬유제품심의위원회는 의류·신발·가방·피혁 제품의 소비자분쟁에 대해 객관적인 책임 소재를 가려내고자 한국소비자원이 내·외부 전문가를 모아 심의하는 기구다.

심의 사례 가운데 진짜 세탁업체에 책임이 있는 경우는 28.9%(709건)이었다.

이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세탁방법이 적합하지 않아 제품이 망가진 경우가 53.5%(378건)로 가장 많았고 더러워진 부분을 제대로 제거하지 못한 경우(오점 제거 미숙)가 11.0%(78건), 뒤처리(후손질)가 미흡한 경우가 9.9%(70건)였다.

고객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제품 손상도 12.6%(310건)에 달했다.

소비자원은 원단의 내구성 등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정상적인 방법으로 세탁하더라도 옷이 망가질 수 있지만 소비자는 대부분 세탁서비스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고 설명했다.

피해 제품을 품목별로 보면 캐주얼 의류인 간편복이 39.1%(961건)로 가장 많았고 양복류가 32.8%(806건), 신발류가 12.1%(296건)이었다.

이 가운데 의복과 피혁제품이 망가진 경우는 제조·판매업체의 책임이 33% 안팎으로 세탁업체보다 많았고, 반대로 침구류는 세탁업체 책임이 38%로 제조·판매업체(20%)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은 세탁서비스 피해를 예방하려면 세탁을 맡기기 전에 제품에 붙은 품질표시와 취급 주의사항을 꼼꼼히 확인하고 세탁물을 찾을 때는 세탁업자와 함께 하자 여부를 즉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