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Q&A> 보건당국 “3차 감염 통제 가능한 수준”

<메르스 Q&A> 보건당국 “3차 감염 통제 가능한 수준”

입력 2015-06-02 14:00
수정 2015-06-02 14: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역사회 아닌 의료기관 내 전파…방역에 최선 노력”

2일 국내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망자와 3차 감염 환자가 동시에 발생하자 감염에 대한 국민의 불안과 공포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보건당국은 이번 3차 감염이 지역사회가 아닌 ‘의료기관 내 감염’으로 아직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라며 국민 개개인의 예방 노력을 당부했다. 당국의 자료에 바탕해 관련 정보를 문답으로 정리했다.

-- 메르스에 감염되면 어떤 증상을 보이나

▲ 발열, 기침, 호흡곤란, 숨가쁨 등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설사 등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당뇨, 급성 신부전 등 만성질환을 갖고 있거나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예후가 특히 나쁘다.

-- 메르스 치료는 어떻게 하나

▲ 아직 예방용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지 않아 증상에 따라 적절한 내과적 치료를 시행한다. 현재 인터페론, 리바비린, 로피나비어 등 기존 바이러스 치료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 환자들이 다녀간 병원을 방문해도 안전한가.

▲ 메르스 전파는 환자와 같은 공간에 동시에 머물면서 밀접한 접촉이 있었던 경우에 제한적으로 발생한다. 환자가 이미 거쳐 간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으로 메르스에 감염될 가능성은 없다.

-- 병원 이름이나 지역은 왜 공개하지 않나.

▲ 병원 이름 등을 공개할 경우 특정 시기를 벗어나서 해당 병원을 이용했거나 거기 종사한 의료인이 불필요한 오해를 받고, 치료 과정에서 과도한 걱정을 불러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공개하지 않기로 방침을 정했다.

-- 메르스는 공기 중에 감염될 수 있나.

▲ 공기 전파가 아니라 비말(침) 전파나 근접 접촉으로 인해 전염된다. 당국은 메르스 확진 환자의 1∼2m 주변에 1시간 이상 함께 머문 사람을 밀접 접촉자로 분류해 격리하고 있다.

-- 메르스 바이러스가 변이해 전파 가능성이 커진 것 아닌가.

▲ 바이러스 변이는 현재까지 확인된 바 없다. 다만 변이 여부를 거듭 확인하기 위해 국립보건연구원,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실험실 등 국내외 4곳에 유전자 염기분석을 의뢰한 상태다.

-- 3차 감염자 발생은 최악의 상황인가.

▲ 현재까지 주변에 병원체의 면역이 없는 자연적인 상황의 지역사회에서 3차 감염자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의료기관 내 감염으로 지역사회에서 전파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직 통제할 수 있는 수준이다.

-- 추가 3차 감염자 발생 가능성은.

▲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3차 감염자가 있다면 조기 확진해 치료하기 위해 민관합동대책반이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 메르스 감염 예방법은.

▲ 손씻기 등 개인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한다. 중동을 여행할 경우 낙타 등 동물과의 접촉을 자제하고 발열이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 사람과도 접촉을 피하는 것이 좋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