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시행 후 애플 국내 점유율 첫 30% 돌파

단통법 시행 후 애플 국내 점유율 첫 30% 돌파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5-07-03 23:48
수정 2015-07-04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통신사 약정기간인 2년 주기로 꼭 한번씩 휴대전화를 바꿔왔다는 김선영(31·여)씨. 김씨는 올해 초 약정기간이 끝났지만 과거와 달리 휴대전화 바꾸기가 매우 부담스럽다고 했다. 김씨는 “100만원에 육박하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지원금도 많아야 고작 20만원이더라”면서 “거의 공짜로 휴대전화를 바꾸다가 고스란히 돈 주고 사려니 망설여진다”고 말했다.

보조금 상한이 주요 골자인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이후 국내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이 크게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전체 휴대전화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한 프리미엄 폰은 지난해 10월 단통법 시행 이후 급격히 떨어져 올해 같은 기간 30~40% 수준에 그쳤다.

반면 아이폰과 저가폰들이 ‘단통법’ 특수를 톡톡히 누렸다. 특히 애플은 지난해 말 한국 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30%의 점유율을 찍었다. 그간 점유율 10%도 미치지 못했던 애플은 아이폰 6의 인기에 단통법 후광으로 비수기로 분류되는 지난 2분기에도 20%에 가까운 점유율을 유지했다. 지원금 상한이 생기면서 국내 프리미엄 폰의 가격 경쟁력이 별 의미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애플은 그동안 아이폰에 대해 보조금을 거의 주지 않았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5-07-0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민주노총 택배노조의 ‘새벽배송 금지’ 제안을 두고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노동자의 수면·건강권을 지켜야 한다는 주장과, 새벽 배송을 원하는 노동자들의 ‘일할 권리’, 민생경제를 지켜야 한다는 반발이 정면으로 맞붙고 있다. 여러분은 어떤 생각을 갖고 계신가요?
1. 새벽배송을 제한해야 한다.
2. 새벽배송을 유지해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