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9일 오전 9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 조정 여부를 결정하고 올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수정 발표한다.
금융시장에서는 연 1.5%까지 떨어진 기준금리는 동결되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4월 발표했던 3.1%에서 2%대 후반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기준금리를 전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내리기엔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가 금통위를 앞두고 채권 보유와 운용 관련 124개 기관에 종사하는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84개 기관의 응답자 114명 가운데 98.2%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4월 3.1%로 제시된 성장률 전망치는 수출 감소와 소비 부진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에 따른 경기 타격까지 겹쳐 추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2%대 후반으로 내릴 것이란 예상이 많은 가운데 그동안의 금리 인하 효과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효과 등을 고려해 3%선을 고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메르스로 인한 경기변동 상황, 그리스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 및 중국 주가 급락으로 인한 국내 금융시장 영향과 관련한 견해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금융시장에서는 연 1.5%까지 떨어진 기준금리는 동결되고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4월 발표했던 3.1%에서 2%대 후반으로 낮아질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한 편이다.
기준금리를 전달에 이어 두 달 연속으로 내리기엔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실제로 금융투자협회가 금통위를 앞두고 채권 보유와 운용 관련 124개 기관에 종사하는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84개 기관의 응답자 114명 가운데 98.2%가 기준금리 동결을 예상했다.
하지만 지난 4월 3.1%로 제시된 성장률 전망치는 수출 감소와 소비 부진에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확산에 따른 경기 타격까지 겹쳐 추가 하향 조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를 2%대 후반으로 내릴 것이란 예상이 많은 가운데 그동안의 금리 인하 효과와 정부의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효과 등을 고려해 3%선을 고수할 것이란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메르스로 인한 경기변동 상황, 그리스 디폴트(채무불이행) 사태 및 중국 주가 급락으로 인한 국내 금융시장 영향과 관련한 견해도 밝힐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