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꼴불견 車 동승자는’호들갑 떠는 사람’

가장 꼴불견 車 동승자는’호들갑 떠는 사람’

입력 2015-08-10 09:13
수정 2015-08-10 09: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타자마자 자거나 상석에 앉는 경우 등은 비호감에어컨에 발 올리거나 과자 흘리는 것도 삼가야

여름 휴가철을 맞아 자가용 운전이 급증하는 가운데 안전 운행과 더불어 동승자의 에티켓도 중요시되고 있다.

동승자가 어떤 행동을 하느냐에 따라 즐거운 운전이 될 수도 있지만 정말 기억하기 싫은 순간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그룹은 최근 자동차 오너들을 상대로 한 설문을 통해 ‘동승자들이 신경 써줬으면 하는 매너 8가지’를 뽑아 공식 블로그에 소개했다.

우선 “어, 어, 어! 여기 부딪힐 것 같아!”라며 호들갑을 떠는 동승자들이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멀쩡하게 운전하고 있는데 옆에서 소리를 지르면 괜히 불안해진다는 게 운전자들의 답변이었다. 게다가 동승자의 호들갑에 운전자가 더 놀랄 가능성도 있다.

차만 타면 자는 사람들 역시 태워주고 싶지 않은 동승자 유형으로 꼽혔다. 운전하는 사람 처지에서 ‘저 사람, 나를 자기 운전기사로 여기는 건가?’라는 생각이 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정말 졸리면 운전자에게 미리 양해를 구해야 서로 기분이 상하지 않을 수 있다.

차 문을 닫을 때 부서질 정도로 세계 닫는 사람들이 주변에 꼭 한 명씩은 있다. 방심하고 있는데 ‘쾅!’하고 닫으면 차에 탄 사람들이 깜짝 놀랄 수 있다.

가끔 대시보드에 발을 얹는 동승자도 있는데 이는 예의에 어긋나는 행동이다. 자동차 오너로서는 기분이 좋을 리가 없다. 한 술 더 떠서 에어컨 바람이 나오는 구멍에 발을 올리는 사람도 있다고 하는데 발 냄새를 좋아할 사람은 없다.

뒷좌석에 사람이 타고 있다면 시트를 과하게 젖히는 것을 삼가야 한다. 뒷사람의 활동 공간이 좁아져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운전자를 포함해 2명이 차를 탈 때는 뒷좌석보다 운전석 옆에 있는 보조석에 앉는 게 좋다. 뒷좌석이 편하다는 이유로 택시 탈 때처럼 자연스럽게 뒤에 앉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실 그 자리는 자동차의 상석이다. 보조석이 비어 있는데도 사전 동의 없이 뒷자리에 앉으면 운전자로서는 운전기사가 된 거 같아 기분이 좋을 리 없다.

과자를 먹으면서 부스러기를 잔뜩 흘려놓는 것도 자동차 오너들을 힘들게 한다. 부스러기가 없는 껌이나 사탕 등은 괜찮지만 잘 부서지는 과자라면 허락을 구하는 게 예의다. 기름기 묻은 손으로 이곳저곳 만지는 것도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새 차를 뽑았는데 옆에 앉아서 “디젤을 사지. 왜 가솔린을 샀느냐”, “빨간 차는 중고로 팔 때 별로다” 등 온갖 잔소리를 늘어놓는 사람들이 있다. 이처럼 자동차에 대해 평가하는 것은 자동차 오너의 감정을 상하게 할 수 있는 행동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휴가철을 맞아 동승해 운전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로 조금만 배려하면 즐거운 시간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동승 에티켓을 골라봤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