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中쇼크 국내 영향 복합적” 야오위둥 “美 금리인상 연기해야”
중국발 쇼크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요동치면서 시장 안정을 책임지고 있는 각국 중앙은행도 바빠졌다.
빅토르 콘스탄시오 유럽중앙은행(ECB) 부총재는 25일(현지시각) 일각의 중국 증시 거품론을 일축했다. 콘스탄시오 부총재는 독일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중국 경제가 둔화하고 있다는 신호가 많지 않다”며 “중국 증시가 글로벌 경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만큼 크게 연결돼 있지도 않다”고 강조했다. 이는 중국 위기와 관련해 ECB가 특별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시사한다. 콘스탄시오 부총재는 이날 유럽 주가가 상승한 데 대해서도 주초에 증시가 무릎 반사반응(Knee-jerk reaction)을 보인 데 대한 일종의 조정 과정이라고 해석했다.
반면, 최근 중국 증시 폭락을 족집게처럼 맞춰 유명해진 톰 드마크 드마크애널릭틱스 대표는 중국 주가가 2590선까지 떨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금보다 13%는 더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중국은 글로벌 증시 패닉 사태의 책임을 미국으로 돌렸다. 야오위둥 인민은행(중국 중앙은행) 금융연구소장은 “미국이 내달 금리를 올릴지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미국 증시가 주저앉았고 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자산 투매가 이뤄졌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미국이 금리 인상을 연기해야 한다는 주문이다.
중국 내부에서는 인민은행의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크다. 마쥔 인민은행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경기 하강 압력이 여전히 있다”며 “인민은행이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을 더 인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은행을 너무 쳐다보지 말라는 반론도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수석 이코노미스트 출신으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견했던 라구람 라잔 인도 중앙은행 총재는 “중앙은행들이 경기 회복과 관련해 너무 많은 압박을 받고 있다”면서 “(이는) 득보다 실이 더 많은 만큼 중앙은행에 너무 과도한 기대를 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그는 선진국의 양적 완화를 ‘싼 돈으로 경기 떠받치기’라고 비판해 왔다. 고통스럽더라도 구조조정에 나서야 한다는 게 그의 처방이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8-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