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 독립투사들의 활약상을 다룬 영화 ‘암살’이 1천만명이 넘는 관객을 모으며 흥행 가도를 달리면서 한국 역사를 다룬 서적들이 인기몰이를 하고 있다.
역사서 주요 구매층이던 ‘40∼50대’, ‘남성’이 아닌 ‘20∼30대’, ‘여성’의 비중이 커진 점이 특징이다.
27일 11번가에 따르면 암살 개봉 이후 약 한달(7월 22일∼8월 24일) 간 한국사 도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사 도서를 구매하는 연령층은 20∼30대가 50%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40∼50대(47%)를 앞질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40∼50대 구매 비중이 72%, 20∼30대는 23%였지만 올해는 연령대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는 최근 영화와 TV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젊은 층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조선왕조실록을 올컬러 만화로 선보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인기 웹툰을 책으로 엮은 ‘조선왕조실톡’이 나오는 등 젊은 층의 입맛에 맞는 한국사 도서가 출간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는 여성의 구매 비중이 53%를 기록, 남성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남성 59%, 여성 41%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과 대조를 이룬다.
오주현 11번가 도서팀장은 “그동안 여성 비중이 높았던 도서 분야는 소설, 에세이 등 문학 장르였고 역사, 자기계발 등 비문학 장르는 남성 비중이 높았다”며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여성 독립투사 등 역사 속 여성이 새롭게 주목을 받으며 역사서에 대한 여성 독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최근 한 달간 많이 팔린 한국사 도서 1∼3위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휴머니스트),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웅진닷컴), ‘역사저널 그날’(민음사) 순이다.
또한, 역사 드라마와 영화 영향으로 ‘징비록’(홍익출판사), ‘백범일지’(돌베개), ‘화정, 정명공주’(생각정거장) 등의 도서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연합뉴스
역사서 주요 구매층이던 ‘40∼50대’, ‘남성’이 아닌 ‘20∼30대’, ‘여성’의 비중이 커진 점이 특징이다.
27일 11번가에 따르면 암살 개봉 이후 약 한달(7월 22일∼8월 24일) 간 한국사 도서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2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사 도서를 구매하는 연령층은 20∼30대가 50%를 차지하며 처음으로 40∼50대(47%)를 앞질렀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40∼50대 구매 비중이 72%, 20∼30대는 23%였지만 올해는 연령대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는 최근 영화와 TV 드라마 등 다양한 매체에서 우리 역사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젊은 층의 역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조선왕조실록을 올컬러 만화로 선보인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 인기 웹툰을 책으로 엮은 ‘조선왕조실톡’이 나오는 등 젊은 층의 입맛에 맞는 한국사 도서가 출간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성별로는 여성의 구매 비중이 53%를 기록, 남성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지난해 남성 59%, 여성 41%로 여성이 남성보다 낮은 비중을 차지했던 것과 대조를 이룬다.
오주현 11번가 도서팀장은 “그동안 여성 비중이 높았던 도서 분야는 소설, 에세이 등 문학 장르였고 역사, 자기계발 등 비문학 장르는 남성 비중이 높았다”며 “하지만 일본군 위안부, 여성 독립투사 등 역사 속 여성이 새롭게 주목을 받으며 역사서에 대한 여성 독자들의 관심이 높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최근 한 달간 많이 팔린 한국사 도서 1∼3위는 ‘박시백의 조선왕조실록’(휴머니스트),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웅진닷컴), ‘역사저널 그날’(민음사) 순이다.
또한, 역사 드라마와 영화 영향으로 ‘징비록’(홍익출판사), ‘백범일지’(돌베개), ‘화정, 정명공주’(생각정거장) 등의 도서도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